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본형
으뜸꼴
원형
선천성기형
선천성
불구
ABNOMALITY
d라이브러리
"
기형
"(으)로 총 34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신생아에서 노인까지 누구나 10종 이상 백신 투여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발열과 함께 작은 발진이 온몸에 퍼지는 병으로, 특히 임신중인 산모가 풍진에 걸리면
기형
아를 낳을 확률이 높아진다. 12-15개월 때 접종한 예방백신은 10-15년이 지나면 그 효과가 떨어지므로 여자의 경우 13-15세 때나 결혼과 출산 전 풍진 예방접종을 한번 더 하는 것이 좋다.볼거리(유행성이하선염 ... ...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없는 하늘에서 자유로이 번성했으며, 전세계로 쉽게 확산됐다.글라이더형과 점보 비행
기형
익룡의 날개는 깃털이 있는 새와 달리 박쥐와 비슷한 피부막으로 구성돼 있다. 박쥐는 네개의 앞발가락으로 피부막을 지탱하는 반면 익룡은 길어진 네번째 앞발가락 만으로 날개를 지탱한다. 독일의 ... ...
비무장지대에 대량 살포된 고엽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색소성 피부증을 앓는 사람이 38명, 피부 발진 23명, 선천성
기형
15명, 전신 허약 12명 등이었다.국내의 고엽제 피해자는 모두 1만7천2백여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들은 지난 10월 미국 고엽제 제조회사인 다우케미컬과 몬산토를 상대로 1인당 3억원씩 모두 5조1천6백억여원의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허가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를 약으로 복용한 유럽과 일본의 산모들이 무려 1만여명의
기형
아를 출산했다.비아그라는 발기부전증 환자의 50%에서만 확실한 효과가 나타났다고 임상시험에서 보고됐다. 그런데도 만일 누군가 영리의 목적으로 ‘100% 효과를 보인다’고 내용을 부풀릴 경우 어떤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불편함이 있다. 피나스테라이드의 경우 이를 많이 복용한 남성이 결혼을 했을 때
기형
아를 출산할 위험이 있다고 보고됐다.하지만 인간의 유전자가 모두 해독될 21세기에는 탈모를 일으키는 유전자 자체를 치료하는 길이 열릴지 모른다. 이 일이 가능해진다면 단순히 두피의 탈모만 치료하는 것이 ... ...
첨단 도청 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멀리 있는 재생기에 도청전파를 발생시키는 도청기는 물론이고, 녹음만 하는 녹음
기형
도청기도 작동 도중 음성을 전자기 신호로 바꾸는 과정에서 내부 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전파가 발생한다. 때문에 보안전문가들은 아주 낮은 주파수부터 높은 주파수까지 광대역의 주파수를 추적할 수 있는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형성하는 설계도면을 만드는 형태 형성 유전자를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태아의
기형
과 조기유산의 원인을 밝히는데 밑거름이 됐다.그동안 과학분야 여성 노벨상 수상자들을 보면 11번 중 8번이 공동수상이었다. 그만큼 여성의 독립적인 연구를 인정하지 않았던 그동안의 분위기를 반영한다.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새로운 체질과 성격을 갖춘 인간이 탄생한다는 말이다.한쪽이 발달하면 다른쪽은
기형
후쿠야마 교수는 현재 정보기술의 범람을 막을 수 없는 것처럼 생명공학의 기술을 반대하거나 그 발전 속도를 늦추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한 국가가 유전자 조작을 통해 우수한 인간을 배출하기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출산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뤼넨탈의 무책임한 주장으로 전 세계적으로 8천명 이상의
기형
아가 출생한 후에야 탈리도마이드의 판매가 금지됐다.이런 실패의 경험은 새로운 의약품의 개발이 얼마나 어렵고 복잡한 일인가를 확실하게 알려준다. 그리고 새로운 의약품의 개발은 물론 그것을 직접 ... ...
3. 걸음마 배우는 우리나라 SF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후진국인 셈이다. 대중 문학에 대한 편협한 시선과 미미한 투자로 인해 한국 SF는 다소
기형
적으로 자라났다. 전업작가도, 전문 비평가나 편집인도 없는 상황에서, 국내의 창작 SF는 영세한 출판사가 단발성 작품을 내고 조용히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작자들은 대개 공대생이나 연구원, 혹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