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품
유품
선물
기념관
기념비
유적
기념시설물
d라이브러리
"
기념물
"(으)로 총 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대 두루미의 낙원 이즈미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천연
기념물
로 지정된 '이즈미의 두루미'는 1만여 마리가 매년 10월 중순경 시베리아에서 한반도를 거쳐 이즈미에 도래, 이듬해 3월까지 월동한다. 마을 근처에서 이처럼 많은 두루미를 볼 수 있는 곳은 세계에서 이곳뿐이다.제16회 전국과학교사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지난 1월11일부터 15일까지 일본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오후에 찾은 비자림은 6백살이 넘는 비자나무 2천5백여 그루가 자생하는 곳. 천연
기념물
제182-2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오랫동안 자연방치되어 비옥하고 습기가 풍부하다.비자나무는 비자나무과에 딸린 상록침엽수로 붉은 자주색 열매가 열린다. 비자열매는 구충제로 쓰이기도 하고 나무는 집이나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9마리를 발견한 것. 두루미는 전세계에 6백50마리 밖에 남아 있지 않은 희귀새로 천연
기념물
2백2호로 지정돼 있다. 이밖에 왜가리 7마리와 물고기를 뜯어먹는 재갈매기 6마리, 민물도요 3백50여마리를 관찰할 수 있었다.숙소에 들어간 교사들은 저녁 11시경까지 구태회교수와 함께 생태계 파괴와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목적기초연구비와 교육부 유전공학 연구지원금의 보조에 의해 행해진 것이며 천연
기념물
제3백68호 삽살개 2백 두의 보존은 문화재관리국의 사육 지원금에 의해 이루어져 오고 있음을 밝힌다 ... ...
유전공학자 하지홍교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불어나 있다. 그 개들을 관리하는 일이 어려우나 그는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지낸다. 천연
기념물
을 보존 관리하는 민간인은 자신뿐이며 전통문화자원을 계승하고 있다는 생각에서다. 그에게 바람이 있다면 이미 국회에 상정된 삽살개보호법이 통과되는 것과 삽살개연구소를 설립하는 일이다.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目) 황새과(科)의 한 종으로 대형이며 겨울철에 일정기간 머무르다 가는 겨울새인데, 천연
기념물
제 1백99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다. 암수 모두 흰색이나 날개 하단부위는 검은색의 깃을 가지고 있으며 나출된 부위인 눈꺼풀과 다리 부분은 붉은 빛을 띈다.한쪽 다리를 들고 서 있기를 즐기며 목은 ... ...
노랑부리백로와 모감주나무 발견이 최대 수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발견한 게 수확입니다. 안면도의 모감주나무는 천연
기념물
로 정해져 있는데, 여기도 천연
기념물
로 지정해 보호해야 할 것입니다.안용환 : 배를 타고 섬을 일주할 때 너무 멀리 돌아서 식물을 못본 게 아쉽습니다.이순용 : 군사지역이라서 식물군락이 많이 파괴된 것 같습니다. 귀화식물도 많다고 ... ...
동요의 가사 속에만 남아 있는 따오기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보인다. 특히 농약 과다사용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인다.따오기는 1968년 5월30일 천연
기념물
제198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절종위기의 조류다. 19세기 말 한국을 답사한 폴란드인 조류학자 타크자노우스키(Taczanowski)는 서울부근 농촌마을에서 50마리씩 떼지어 노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고 ... ...
다테야마 立山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새인데, 빙하기부터 살던 새로 현재 2백50여 마리가 살고 있다. 도야마현의 상징이며 천연
기념물
인 이 새는 겨울에는 흰색, 여름에는 갈색으로 털갈이를 한다. 도야마현의 상징동물로 또 가몽카라고 불리는 일본영양이 있다.무로도에는 관광객 등산객 스키어들만 오는 게 아니다. 산악신앙인들도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제주도나 울릉도, 그리고 따뜻한 남해안 등지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로 그 열매는 천연
기념물
인 흑비둘기가 즐겨 먹는다.그런데 한가지 문제가 되는 점은 한약제(漢藥劑)인 중국의 후박은 Magnolia officinalis Rehder et Wilson으로 쓰고 있으므로, 같은 속인 일본목련(M.obovata Thumb.)을 후박이라고 해야 한다는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