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긍정"(으)로 총 79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약 7년 뒤 가속기가 완공된다. 김 교수는 “현재 일본 정부의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가속기가 완공되고 2030년경에는 본격적으로 실험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계획대로라면 ILC는 CEPC보다 먼저 가동한다. CEPC는 현재 개념설계와 기초 ... ...
- [인터뷰] UNIST 입학학생처장 곽상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경우 UNIST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학업 계획과 꿈을 잘 녹여낸다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UNIST를 목표로 하는 학생이라면 평소에 UNIST 관련소식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 입학학생처장은 학교에 대한 관심은 서류뿐만 아니라 면접에서도 좋은 ... ...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학원을 다니지 않고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해 수학 과목의 성적이 점차 올랐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수학 성적 올린 생각의 힘그렇다면 어떻게 스스로 수학 공부를 한 걸까. 김 씨는 “생각하며 하는 공부”라고 답했다. “보통 수학 문제를 풀고 답안지를 보면서 ‘아, 이렇게 푸는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학생 A : 올바른 의견이라고 봅니다. 운동을 해서 몸을 튼튼하게 하면, 세상의 모든 일이 긍정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학생 B : 외부 자극이 신체에 들어오면, 신체는 신경망을 통해 뇌에 신호를 보냅니다. 신호는 전위차에 의해 전달됩니다. 뇌는 그 전위차를 인식해 판단을 내립니다. 신체가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부담감이 결과적으로는 중국 과학계에 자부심과 동기를 심어주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 후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 ...
- [Issue] 최저임금 인상, 경제에 어떤 영향 미칠까?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않을까?이상의 결과만 본다면, 최저임금 인상은 고용감소를 유발하지 않기에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최저임금이 대폭 인상되는 경우에도 이런 현상이 지속될 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대표적인 경우가 예카테리나 자딘 미국 워싱턴대 교수팀의 논문이다. doi:10.3386/w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썼을 정도다). 탈모는 한국인 상위 12%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긍정적인 결과도 있었다. 평소 ‘피부가 좋다’는 말을 종종 들었는데, 피부에 신경을 쓰는 편이 아니었던 만큼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런데 유전자 분석 결과 피부 노화 위험도가 낮은 편으로 분석됐다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뽑는다. 이렇게 대학이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중을 늘리고 있는 까닭은 과정이 긍정적으로 평가된 학생들이 실제로 대학 생활을 하는 동안 우수한 학업 역량을 발휘하거나, 외부 활동 및 취업 등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2017년 3월, 서울 소재 10개 사립대학이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있어도 포기하지 않는 끈기도 필요하죠.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항상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를 갖고 자기만의 개성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즐겁게, 욕심 부리지 말고, 스스로 개성을 찾아보세요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SCI)급 저널에 실린 논문의 수다. 논문 수를 따지는 R&D 평가 방식이 자리 잡으면서 긍정적인 영향도 나타났다. 2001년 한 해에만 SCI급 저널에 게재된 국내 논문은 1만5896편으로 점유율은 1.63%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 수치는 차츰 늘어나 2015년에는 5만 7626편이 게재됐고 점유율도 3.78%로 늘었다. 2014년과 2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