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하기"(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3월에도 지구를 구하기 위해 ‘플라스틱 다이어트 프로젝트’를 인증하는 기자단 친구들이 많았어요. 나의 플라스틱 다이어트 비법을 자세한 설명 글과 함께 작성해 준 친구들도 있었고요. 학교 생활로 바쁘게 일상을 보내겠지만 우리 모두 지구를 구하는 작은 실천은 잊지 않도록 해요!^^ 플라 ...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내셔널지오그래픽(냇지오)과 동아사이언스가 함께한 ‘제주 동굴 탐험 캠프’가 5월 21~22일 열렸다. 모두 과학동아 독자로 이뤄진 총 36명의 참가자들은 용암동굴의 신비로움과 함께 시민 과학, 생태계 연결의 중요성을 체험했다. 박쥐 초음파 탐사와 용암동굴 탐험 현장을 생생히 담았다.※ 세계자 ... ...
- [(구)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우리는 누리호 대신 컵을 쏘아 올리자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발단은 소소했습니다. 인터넷을 하다가 영상 하나와 마주쳤습니다. ‘컵 불기 챌린지(cup blowing challenge)’라는 제목이었는데요, 내용은 단순했습니다. 테이블에 컵을 세 개 올려놓습니다. 하나는 몸에서 멀리 두고, 나머지 두 개는 몸 가까이에 겹쳐둡니다. 이제 겹쳐있는 컵 중 위에 있는 컵을 빠르 ... ...
- [기획]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원자력 산업계와 학계는 지난 5년간 탈원전 정책을 겪었다. 원자력 전공자 수 감소와 인재 이탈, 원전 산업계 매출 감소 등을 겪었다. 원전 생태계 속 대학생 그리고 직장인은 삶에 어떤 영향을 받았을까. 이야기 속 주인공은 3명. 수치로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 지난 5년간의 이야기를 이들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6장. 괴델 수와 모순수학동아 l2022년 06호
- 1931년 오스트리아 출신 미국 수학자 쿠르트 괴델이 발표한 ‘불완전성 정리’는 모순 없는 공리계를 만들고자 노력한 수학자들의 희망을 앗아가 버렸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 증명할 수 없는 문장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제1정리와 제2정리로 구성돼 있습니다. 두 정리 중 특 ... ...
- [기획] 양자컴퓨터 분신술로 더 빨리 계산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그러면 양자컴퓨터는 어떻게 기존의 컴퓨터보다 빠른 걸까요? 양자컴퓨터의 핵심 원리는 양자역학의 현상인 ‘중첩’입니다. 분신술을 쓰면 한 번에 여러 일을 할 수 있듯, 중첩 상태에서 계산하면 결과를 더 빨리 찾을 수 있거든요! 물리학자들은 우리가 보고 살아가는 세상을 ‘거시 세계’라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지난 2월 22일 오후 2시, 서강대학교 R관 바이오계면연구소로 4명의 어과동 기자단이 출동했어요. 신관우 교수님의 초청을 받아 ‘켐봇(로봇팔)과 함께하는 화학 실험’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서였죠. 기자단 친구들은 화학 실험실에 나타난 로봇을 직접 작동해 실험해 보기로 했어요. 로봇으로 화학 ... ...
- [기획] '마르스'를 향한 아르테미스의 기나긴 여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아르테미스 미션은 2030년 이후 화성까지 예정된 장기 프로젝트예요. 과연 인류는 달을 향한 여정을 무사히 마치고 화성까지 갈 수 있을까요? NASA는 현재 아르테미스 미션의 3단계까지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습니다. 2024년 5월로 예정된 ‘아르테미스2’에서는 아르테미스1과 과정이 같지만, 마네킹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인간세탁기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존경하는 사람이 누구냐는 질문에 세종대왕,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등을 이야기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이젠 아닙니다. 정말 존경스러운 사람은 바로 ‘집에 오자마자 씻는 사람’입니다. 알람 울리자마자 일어나는 사람, 밥 먹자마자 설거지하는 사람도 존경합니다. 위의 세 가지를 모두 하는 사람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특별한 가설로 세계를 들썩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수학 문제를 만드셨지요? 제가 1859년 발표한 논문에 쓴 ‘리만 가설’ 얘기로군요. 리만 가설은 ‘소수’의 배열에 일정한 규칙이 존재한다는 내용이지요. 소수는 2, 3, 5, 7, 11, 13처럼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눠떨어지는 수예요. 훗날 암호학자들은 소수가 불규칙하게 나타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