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통"(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모가 여섯 개 모이면? 상자 모양 직육면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놀이북6쪽과 함께 보세요! 주변을 둘러보세요. 네모난 방 안에 있는 네모난 침대, 네모난 교과서, 네모난 교실.... 공통점은 바로 직사각형 6개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이에요. 이걸 ‘직육면체’라고 부르지요. 오늘은 직육면체의 특징을 알아볼까요?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열역사를 분석하면 융기 시점을 추측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해발고도 600m 아래 지층은 공통적으로 2600만~1800만 년 전 사이에 냉각됐다는 것이 밝혀졌다. 태백산맥이 점진적인 융기로 형성된게 아니라 한꺼번에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doi: 10.1080/00206814.2017.1340196지난해 12월 변종민 서울대 지리교육과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여기에 씨앗이 뿌리를 내리면 풀과 나무 등의 식생이 생겨난다. 댐이 지어진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육상화 현상이다. 2008년 전국 21개 댐의 하류 하천을 항공사진으로 분석한 결과 댐 건설로 모래섬(사주) 면적은 17%p 감소하고 식생면적은 두 배 이상 증가했음이 밝혀졌다. doi: 10.3741/JKWRA.2008.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갈라진 목(order) 수준에서 대표종 260종을 뽑아 표준유전체를 구축하고 있다. 공통조상에서 영장목, 고래목, 식육목 등으로 분화된 요인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김 교수는 “올 상반기 서울대 기초과학공동기기원에도 VGP 표준유전체를 구축할 수 있는 장비를 갖췄다”며 “VGP의 최종 ... ...
-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찾아라! 그림에 나와 있는 과채류를 분류해볼까요? 과일과 채소라는 공통점으로 묶거나, 비슷한 생김새를 기준으로 묶을 수 있을 겁니다. 이처럼 AI가 데이터 사이에서 규칙을 찾아내고 의미를 추론하는 기계학습법을 ‘비지도형 기계학습’이라고 해요. 이것은 기존에 알지 못한 새로운 특징을 ...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그는 “그런 것은 없다”라고 말했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이미 전 세계 모든 바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문제가 됐다는 것이다. 때로는 그의 작품활동을 응원하는 다른 동료 작가들에게서 뉴락이 발견된 지역을 제보받기도 한다. 한번은 동료 작가로부터 전남 신안군의 한 해안에 플라스틱 ... ...
- 야생을 잊은 노란 부리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짧다.그런데 조류가 사람의 공간에서 오래 지내다 보면 제각각이던 부리와 발톱에 공통점이 생긴다. 원래 형태를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길어진다. 야생에서는 먹이 활동을 하고 조류 스스로 관리하기 때문에 부리와 발톱이 자연스럽게 마모되지만, 사람과 살며 부적절한 먹이를 먹고 갇혀 있으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대칭과 주사위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주사위들이 정말 많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내기와 게임을 좋아하는 건 모든 사람의 공통점인가 봅니다. 그런데 요즘에 사용하는 주사위는 왜 유독 정육면체 모양이 많을까요? 정육면체의 한 면은 정사각형으로 이뤄져 다른 형태의 주사위에 비해 윗면을 읽기가 가장 편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달리 ...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긴다리비틀개미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선정한 100대 악성침입외래종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번식력과 적응력이 뛰어나다. 가령 미국 동부 토착종인 큰입배스는 전 세계에 퍼져 있고, 남아메리카 토착종인 뉴트리아는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대륙을 점령했다. 북아메리카 토착종인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팀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4개 검출기 연구팀 모두 굉장히 체계적으로 진행된다는 공통점이 있다”며 “그중 CMS팀은 마치 하나의 기업과도 같다”고 말했다.CMS팀의 경우 55개국, 3000여 명의 과학자로 이뤄져 있다. 이들은 연구 목적에 따라 36개 팀으로 나뉘며, 36개 팀은 다시 크게 5개의 부서로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