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로"(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신장 이식 수술을 성공했다. 머레이는 그 공로로 199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시간이 흘러, 이제는 간, 신장, 폐, 심장 등 웬만한 장기뿐만 아니라 각막이나 피부 이식도 가능하다. 그렇다면 왜 아직도 이들이 모여 있는 신체 일부를 이식하는 건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우주의 진화에 대한 물리적 모형을 발전시키기고 우주배경복사의 존재를 예측”한 공로를 치하했지만 말이다. 함께 만들어가는 과학의 길역사는 언제나 최고만을 기억한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역사의 기억이 왜곡돼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일반상대성이론의 역사에서도 왜곡이 제법 심각하다.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발했다. 1973년 국제천문연맹은 열정 하나로 전파천문학 분야의 기초를 다진 잰스키의 공로를 인정해 ‘잰스키’를 하나의 단위로 인정했다.우연히 맡은 업무를 단순한 일로 여기지 않고, 꾸준히 매달려 새로운 전파천문학 분야를 연 열정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잰스키는 전파 강도를 나타내며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겸 작가다. 모든 사람이 수학을 즐기길 꿈꾸는 그는 수학과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로 영국왕립학회와 미국과학진흥회에서 상을 받았다. 그의 최신작인 의 번역판이 7월 중 출간된다. 영국 워릭대 수학과 명예교수로 재직 중인 그에게 궁금한 점을 물었다. 에서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오류를 극복하고 최종적인 중력장 방정식을 얻게 된 데는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의 공로가 크다. 1915년 6월 28일 힐베르트가 아인슈타인을 독일 괴팅겐대로 초빙해 한 주 동안 세미나를 하게 했다. 세미나는 아인슈타인에게 큰 자극이 됐다(Plus 참조). 그로부터 몇 달 동안 아인슈타인은 새로운 ... ...
- [지식] 곰팡이로부터 명약을 떠올리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1944년부터는 감염성 질병을 앓는 일반인 환자를 치료하는 데 쓰였다. 플로리와 체인은 이 공로로 플레밍과 함께 194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수학으로 예측하는 곰팡이 번식현재까지 발견된 곰팡이는 약 6만 9000여 종이다. 페니실린과 같은 의약품부터 맛있는 치즈까지 만들어 주는 곰팡이는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항암치료 고통 덜어준 유방암 예측 SW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됐다. 2004년 유방암 예측검사인 ‘온코타입디엑스(oncotypeDX, 아래 온코타입)’를 개발한 공로로 ‘유방암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코멘 브린커상도 2010년 받았다. 이 검사는 내 몸에 있는 유전자 21개를 분석해 유방암이 어떻게 진행될지 예측하는 기법이다. 항암제를 맞지 않아도 되는 유방암 ... ...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결정적인 케이오 펀치를 날린 것이 그로부터 10년 뒤의 일이다. 뉴턴의 가장 중요한 공로는 보편 중력의 법칙을 세운 것이다. 모든 물체 사이에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이 작용한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의심하는 것은 곧 물리학을 의심하는 것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나 물체가 직접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빛 알갱이)와 전자가 충돌해 전자가 튀어나오는 원리거든요. 저는 이 광전 효과를 설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1921년도 노벨 물리학상을 받기도 했습니다.처음에 제가 광전 효과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을 때, 학계에서는 맥스웰의 파동방정식을 부정하는 게 아니냐며 반가워하지 않았습니다. 당시 ... ...
- [과학뉴스]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핵심 부품인 패킷 전달 칩(엔진)의 고속화를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조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진흥 부문 수상자인 유 연구원은 2012년부터 ‘아시아태평양 여성과학기술인네트워크(APNN)’ 의장을 맡아 아태지역 여성과학기술인의 역량 강화와 상호협력 체계 마련에 기여했다.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