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파노라마 사진전 │ 이 눈에 세상을 담는다면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만드는 반복되는 패턴 속 작은 농구장 하나. 반복되는 일상 속의 쉼표처럼 보인다.
겨울
의 로스앤젤레스에 뜬 달엘리엇 맥구켄 I 미국오픈 환경/건축 부문미국의 도시 로스앤젤레스 위로 거대한 달이 걸렸다. 달이 더욱 커 보이는 이유는 지평선 근처에서 나타나는 ‘달 착시’ 때문이다. 도시의 ... ...
[기획] 인공 눈 과학자가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겨울
스포츠를 즐기게 해주고, 날씨를 조절하는 데도 사용되는 인공 눈! 하지만 인공적으로 날씨를 바꾸는 건데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 이런 걱정이 들었다면 주목! 인공 눈에 대한 다섯 가지 궁금증, 국립기상과학원 장기호 박사님께 물었습니다. 1 인공 눈이 필요한 이유가 뭘까?기후변화가 ... ...
[이달의 식물사연]
겨울
에 만나는 아카시아 꽃의 비밀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추억의 동요 ‘과수원 길’에 등장하는 아카시아의 원래 이름은 아까시나무다. 식물 분류학상으로는 수도아카시아(pseudoacacia)라는 종명을 가지고 있는데, 가짜(pseudo) 아카시아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진짜’ 아카시아는 어떤 식물일까.놀랍게도 아카시아는 1000종 가까이에 이르는 대가족으로, 대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세제를 넣었더니? 우유 속에 꽃이 피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좋아하는 섭섭박사님은
겨울
엔 꽃을 보기 힘들다며 속상해해요. 그러던 찰나, 박사님 머릿속에 아이디어 하나가 번뜩 떠올랐어요. 꽃을 피울 수 있다며 가져오신 건 다름 아닌 우유와 세제?! 우유랑 세제로 어떻게 꽃을 피울 수 있다는 거죠? 도전실험우유와 세제로 물감 꽃을 피워 보자!세제는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한 셈이지요. 이는 물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져서 어는 현상인 ‘결빙’이 일어난 거예요.
겨울
철 한강이 얼어붙는 것도 결빙 현상의 하나지요. 얼음과 혀가 강력하게 달라붙었을 때는 강제로 얼음을 떼어 내려고 하지 마세요. 혓바닥의 피부는 아주 약해서 함께 떼어질 수도 있거든요. 대부분의 경우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동아사이언스 영상 다시보기추운
겨울
이 찾아오며 영화 ‘
겨울
왕국’이 떠오른다면?
겨울
왕국에 사는 엘사처럼 얼음을 자유자재로 자라나게 할 수 있는 실험을 해보세요. 조그마한 얼음조각에 물을 졸졸졸 부으면 얼음이 쑤욱 자라나요. 단, 평범한 물이 아니라 ‘과냉각’ 상태의 물이어야 한다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손으로 돌리는 팽이는 가라 이제는 건전지로 돌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눈 만들기! 한여름 복날에 만들어본 인공 눈! 결과는 대성공입니다. 렛잇 고~, 렛잇 고~!
겨울
왕국 세상으로 다들 어서 오세요^^. 실험 하나 더!돌아라! 5만 원권 지폐야!아싸! 섭섭박사님이 올 한해 수고했다면서 용돈을 주시겠다고 하네요. 그 전에 지폐와 관련된 재미있는 실험 하나만 보여준다고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흘러내리는 얼음을 말해요.빙하는 수백 년에서 수천 년 동안 눈이 쌓여서 생겨요.
겨울
에 내린 눈의 양이 여름에 녹은 눈의 양보다 많으면 눈이 계속 쌓여서 얼음덩어리로 변하며 자체 무게로 압력을 받아 지형이 낮은 곳으로 이동하지요. 남극 대륙과 같은 극지나 알프스 산맥처럼 고산 지대에 ... ...
[해외취재➋] 나쁜 동물원이 문 닫으면 동물은 어디로 가나요? 집 잃은 동물의 집,생추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먹이를 먹어왔습니다. 활동가들은 유팔이가 야생과 비슷한 형태로 먹어 살이 찌고
겨울
잠을 자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곰들은 내년에 생추어리로 갈 수 있을까요? 아직 정처를 찾지 못한 사육곰은 전국에 368마리가 남아있습니다.●정형행동 :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아 목적 없이 지속해서 반복하는 ... ...
[특집] 파트2 해외 취재 세포를 꽁꽁 얼린 이유는? 북부흰코뿔소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구현하기 위해 만든 환경입니다. 사육팀은 앞으로 6개월간 진흙구덩이를 없애 건조한
겨울
을 만들 예정입니다. 동물원은 복지를 위해 계절 변화까지 구현하며 코뿔소들이 잘 자라 앞으로 10~15년 안에 새끼 북부흰코뿔소가 탄생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스캇에게 동물원은 어떤 곳일까요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