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게임"(으)로 총 2,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 화가가 그려가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20초 안에 제시어를 그려 AI가 무엇인지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사이트지요. 많은 사람들이 게임에 참여할수록 인공신경망은 더 많이 학습할 수 있고, AI는 점점 더 똑똑해질 거예요!➋ DALL·E2(달리2)기업가 일론 머스크와 프로그래머 샘 알트만이 공동 설립한 OpenAI라는 인공지능 회사에서 만든 인공지능 ... ...
- [수학히어로 출동! 슈퍼M] "뱅글뱅글오래 도는 팽이를 만들려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유지해요. 팽이와 맞닿은 바닥이 기울어져도 팽이는 넘어지지 않지요. 자이로스코프는 게임기나 휴대전화, 로켓이나 로봇 등을 만들 때도 사용돼요. 스스로 움직임을 감지해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하지요 ... ...
- 게임으로 만나는 놀러와! 도토리 슈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본책 32쪽과 함께 보세요! 도토리 페이의 가입자 수가 점점 늘고 있어요. 민구는 도토리 페이 가입자를 위해 이벤트를 마련했어요. 민구를 도와 선물 추첨 놀이판을 만들어 봐요! 사다리 타기를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포네틱 코드로 말해 봐! ‘포네틱 코드’는 M과 N, G와 Z처럼 발음이 비슷한 알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 한번 해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해 아바타와 가상 세계의 겉모습을 꾸밀 수 있는 자유도는 낮아요. 반면에 제페토는 게임을 만들려면 배워야 하는 코딩의 난이도가 높지만, 유저가 아바타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고 아바타를 위한 아이템과 아바타들이 만나는 월드도 쉽게 꾸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양양의 네비게이션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나에게 가장 소중한 보물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본책 24쪽과 함께 보세요! 이번엔 새로운 보물찾기를 해볼까요? 먼저, 각기둥과 각뿔 모양의 보물상자를 직접 그려 보세요. 그런 다음, 상자의 모양을 설명할 수 있는 퀴 ... 설명하는 것이 게임의 규칙이에요.먼저 아래에 있는 입체도형과 설명을 올바르게 연결하며 게임 연습을 해보세요 ... ...
- [특집] 현실에서 한 번, 가상 세계에서 두 번 즐긴다! 메타버스 테마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플랫폼과 비교해 개발 자유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사용자들이 참여해 직접 게임이나 콘텐츠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했습니다. Q앞으로 메타버스 테마파크는 어떤 모습이 될까요?최 방문객이 되어 콘텐츠를 즐길 거라는 예상과 다르게, 사용자들은 에버랜드 직원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메타버스가 바꾸는 현실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온라인 속 캐릭터를 대상으로 한 성적 괴롭힘을 제재하는 법안을 발의했어요. 게임 속이어도 캐릭터가 사용자의 인격을 대신한다고 본 거예요. 그래서 온라인 플랫폼 제공자가 이를 관리하도록 하는 ‘디지털 성범죄 대응 4법’을 발의했어요. 신 의원은 “특히 온라인상에서의 피해자는 주로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SEASON4] 통증의학과 의사 ‘아나프니 이리오우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안 움직여!”깜짝 놀란 다무러가 컴퓨터 앞에 앉은 썰렁홈즈에게 다가갔다. 밤새도록 게임만 하느라 썰렁홈즈의 목이 거북처럼 굽고 어깨는 돌처럼 딱딱해진 것! 다무러는 곧장 세계 제일의 통증의학과 의사 ‘아나프니 이리오우쇼’에 썰렁홈즈를 데려가는데….“반갑쇼! 나의 치료는 하~나도 안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광물 찾기 게임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광물을 확인한 뒤 해당 광물을 찾아서 채굴하세요. 제한 시간이 다 되면 점수를 알려주고 게임이 끝나요. 잠깐! 광물을 더 추가해 볼까요?배열 ‘광물들’에 광물의 이름을 추가하고 ‘블록이 깨지면 실행’ 명령블록을 가져와 같은 방법으로 코드를 작성하세요. 광물들이 늘어나 찾기가 ... ...
- [수학뉴스] 한국계 수학자 최초 필즈상 수상 '허준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관해서라면, 초등학교 2학년 때 구구단을 외우기 힘들어한 적이 있어요. 하지만 퍼즐이나 게임처럼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필요한 문제에는 자연스럽게 끌렸어요. 고등학교 때는 수학이 아주 재미있다고 생각했고, 잘하기도 했지요.Q. 동료 수학자들과 함께 어울리며 수학을 연구하셨다고요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