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빌딩
건축물
건조물
집
사옥
옥사
구조물
d라이브러리
"
건물
"(으)로 총 2,11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수학 X 게임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몬스터들이 낭떠러지에서 떨어져 한 곳으로 모이면 그때 처단합니다. 따라서 공장의
건물
을 높게 지어야 하지요. 단, 공장을 만들 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경험치는 몬스터가 죽는 순간 나오는데, 시간이 지나면 사라져 버려요. 그래서 플레이어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경험치가 다 없어질 수 ... ...
야생동물 구조 1만 데이터가 말해준 것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졸졸 쫓아다니는 조성성 조류다. 새끼는 물가로 향하는 어미를 따라가다가 도로나
건물
사이에 고립된다. 집수정이나 농수로도 흰뺨검둥오리가 자주 고립되는 장소다.다행히 모든 구조 요인 중에서 미아는 방생 비율이 약 60%로 가장 높다. 다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구조센터에서 잘 성장시키기만 ... ...
세 번째 방_이게 된다고? 불가능한 방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게임 ‘모뉴먼트 밸리’의 화면이에요. 불가사의한
건물
속 구조물을 움직여 주인공이
건물
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게임이지요. 두 개의 길을 90˚씩 돌려보세요. 높이가 다르던 길➊과 길➋가 감쪽같이 같은 층처럼 보일 거예요. 이는 우리의 눈이 어떤 사물을 실제와 다르게 보는 ‘착시 효과’를 ... ...
[기획] 휠체어로 달리는 방법을 배워봅시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Intro. 휠체어로 달리는 방법을 배워봅시다Part1. 1교시 거리를 달려봅시다Part2. 2교시
건물
안으로 들어갈… 수 있나요?Part3. 3교시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을 기다립니다Part4. [과제] 이번 수업의 과제는 이야기 나누기 ... ...
[에디터노트] 언젠가 닿기를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미친 영향은 광범위한데, 의외로 생각만큼 오래 가지 않습니다. 도시를 이룬 콘크리트
건물
은 수 년이면 물이 새고 부스러져 결국 수백 년 못 가 무너집니다. 기후변화의 주범 이산화탄소는 300년 정도면 사라집니다. 플라스틱도 600년이면 자연분해되죠. 다만 둘 다 쌓인 양이 많아 다 없어지는 데 ... ...
인류멸망시나리오③ 1만5000개의 핵무기가 터졌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20psi(프사이)의 압력이 반경 30km에 퍼졌다. 이 압력으로 부는 풍속은 초속 152m에 달했다.
건물
이 흔들릴 정도의 바람을 몰고 오는 초강력 태풍의 풍속이 초속 54m임을 고려하면, 초강력 태풍의 거의 세 배 가까운 속도였다. 도시는 초토화됐다. 열복사는 더 멀리 퍼졌다. 반경 240km 내에 있는 것들은 모두 ... ...
[특집]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 숲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호랑이들도 동물원과 마찬가지로 오전에 방사장으로 나와 자유롭게 지내다가 오후 4시쯤
건물
안쪽 내실로 들어갑니다. 하지만 방사장이 넓은 탓에 호랑이가 제 시간에 들어가지 않아서 저녁 8~9시까지 기다리는 일도 종종 있다고 해요. 특별하거나 위험한 상황이 아니라면 호랑이의 행동을 일부러 ... ...
[한 장의 기후위기] 페이스트리처럼 변한 기둥, 흰개미가 파고든 목조 문화재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때 텅 빈 소리가 나는가?’ YES ‘목부재에서 창살 모양의 긴 구멍이 보이는가?’ YES ‘
건물
에서 흙길이 발견되는가’ YES . 서광호 경북북부문화재돌봄센터 전문모니터링팀장은 “서당을 지탱하는 목재 내부에 흰개미가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흰개미는 약 3000종에 달하는 흰개미아목의 곤충을 ... ...
EARTH MAGAZINE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지구 위 모든 생물의 질량을 합한 것보다 많은 인공물을 만들고 사라졌다. 인간이 지은
건물
과 도로는 1조 1000억 t으로 전 세계 나무의 질량인 9000억 t을 뛰어넘었고, 플라스틱은 80억 t으로 동물 질량의 2배에 달했다. 1900년 인공물의 총질량은 전체 생물량의 3%에 불과했지만, 멸종 직전까지 초고속 ... ...
[만화 뉴스]
건물
이 스스로 회복한다고? 살아있는 3D 프린터 잉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지난 11월 미국 노스이스턴대학교 닐 조시 교수팀은 대장균이 만든 단백질로 3D 프린터●에 사용하는 ‘미생물 잉크’를 만들어 공개했어요. 연구팀은 우선 대장균의 유전자를 변형시켜 혈액을 굳게 하는 ‘피브린’ 단백질을 분비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후, 피브린 단백질만 추출하여 젤라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