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견
관여
개입
참관
관계
중재
방해
d라이브러리
"
간섭
"(으)로 총 625건 검색되었습니다.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NMR)는 초전도자석을 냉각하는 데 헬륨을 쓴다. 극저온 물성 연구, 초전도 양자
간섭
소자(SQUID)를 이용한 정밀 분석 등 각종 첨단 분석 장치의 주요 부품을 냉각하거나 극저온을 발생시키는 데도 빼놓을 수 없는 물질이다. 만약 헬륨이 없다면 이런 분야는 더 이상 연구를 할 수 없다.우리나라는 헬륨을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더 넓은 영역에 비춰질 것이다. 이 빛은 일부 겹쳐져 중첩될 것이며 상쇄
간섭
또는 보강
간섭
의 증거를 남길 것이다. 만일 빛이 입자라면 하나의 슬릿을 통과한 입자가 일정영역에 흩뿌려질 것이고 두 개의 슬릿은 가까이 붙어 있어 흩뿌려진 영역이 겹쳐지는 부분에서 빛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날 ... ...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나온 방법 중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액정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홀로그램의
간섭
무늬를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로 촬영한 뒤, 재생할 때 이를 고화질 액정에 나타내고 그 위에 원래의 레이저 빔을 비춰 실시간으로 홀로그램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아직은 카메라의 해상도가 낮고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거울을 달아 빛을 증폭시키는 구조를 구상했다. 매질이 같고 굴드의 평행 거울이 숄로의
간섭
계와 동일하게 작동한다는 점에서 굴드의 장치는 숄로의 광학 메이저와 흡사하지만 유도방출된 빛을 집속시켜서 높은 출력으로 만든다는 점이 다르다. 즉 숄로는 광학 메이저를 ‘단일 파장’의 빛이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중심부의 스핀 방향이 바뀌면서 스핀파가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전파와 투과, 반사,
간섭
같은 파동특성을 파악해 스핀파를 제어하면,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김 교수는 “스핀파를 활용한 새로운 자기 소자는 반도체 소자보다 빠른 속도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며 “소자의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떠는 모습을 잡아냈다. 1초에 100번 이상 찍을 수 있는 촬영속도 덕분이다. 김 교수는“
간섭
현미경은 현재 파장의 1000분의 1 수준의 위상 분해능을 얻을 수 있어 시료의 미세한 변화를 고속으로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험실을 구경하고 나오는 길에 김 교수는 광학현미경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 ...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아래의 위치를 구분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곳에서 연구하는 OCT는 ‘전역광
간섭
단층촬영술’이라고 해서 대부분의 OCT 시스템처럼 가로 방향으로 빛을 쏘지 않고도 샘플 내부의 횡단면 이미지를 현미경처럼 한꺼번에 얻을 수 있다.OCT를 만들었다고 해도 실험할 생체시료가 없다면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호랑이를 방사하는 계획을 반대한다. 최 씨는 “DMZ는 정치적인 문제로 그동안 사람들의
간섭
을 받지 않은 지역으로 남아 있을 뿐이지, 막연히 생물 종이 풍부한 자연상태라고 볼 수 없다”며 “그곳에 호랑이를 넣겠다는 건 호랑이에게 지뢰탐지를 시키겠다는 것일 뿐”이라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또 레이저 빔의 수를 늘리면 2차원, 3차원의
간섭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연구단에서는 이
간섭
무늬를 감광성 고분자에 쬐어준 뒤 특정 용매로 현상해 주기적인 패턴을 만들었다. 이 주기적인 패턴은 굴절률의 변화를 가져와 광결정으로 이용될 수 있다.단 광결정은 한번 만들면 바꿀 수 없다. 여기서 ...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분야를 바꾼 뒤,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RNA에서 유전정보 전달을 억제하는 ‘RNA
간섭
’현상을 최초로 발견해 노벨상을 받았습니다.2007년부터 건국대학교 석학교수로 있는 조레스 알페로프 교수는 200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러시아의 대표적인 물리학자입니다. 수학 박사 학위를 가진 그는 CD나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