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령"(으)로 총 1,0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음식량은 몸무게의 10% 미만이지만, 지렁이는 자기 몸무게만큼 먹고 전부 배출한다. 가령 무게가 2g인 실지렁이는 하루에 퇴비를 2g 생산한다. 실지렁이 1000마리면 하루에 2kg의 퇴비를 만들 수 있는 셈이다. 덕분에 지렁이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사육하기에 적합하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개최에 앞서 출전팀이 훈련할 수 있도록 경기 규칙이 담긴 소프트웨어를 공개했다. 가령 팀별 포지션은 공격수(F) 2명, 수비수(D) 2명, 골키퍼(G) 1명으로 고정했다. 또 실제 축구팀에서 포지션별 선수들의 특징을 반영해 AI 공격수는 가볍고 빠르게 움직이도록, AI 수비수는 덩치가 크고 느리게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부릅니다. 뇌 신호를 기계에 연결하고 컴퓨터를 이용해 제어한다는 뜻입니다. 가령 환자의 뇌 신호를 휠체어나 로봇 의수 같은 기계에 보내고 이를 제어해 환자가 움직이도록 돕는 것입니다. 뇌-컴퓨터 접속기술은 어디까지 발전했나요?뇌-컴퓨터 접속기술 연구는 수십 년 전 쥐, 원숭이 등 동물을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잃거나 많이 잃으면서 화합물을 만들 수 있고 안정한 상태도 유지할 수 있다는 뜻이다. 가령 일반적으로 지각에서 채취하는 철광석은 산화수가 +3인 산화철(Ⅲ)이다. 철광석을 우리가 사용하는 순수한 철로 만들기 위해서는, 산화철을 환원시켜 산화수를 0으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 ...
- 담배는 담배일 뿐, 향기에 속지 말자 전자담배의 무서운 유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다르기 때문에 이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종류와 양도 각각 다르다”고 말했다. 가령 일반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 모두 담뱃잎에 열을 가하는 방식이지만, 일반담배는 650도에서 ‘태우고’, 궐련형 전자담배는 350도에서 ‘가열’하기 때문에 수분이나 유해물질의 양이 다르다(정확한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전자기기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리튬이온전지의 장점이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가령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데 니켈-금속수소 전지가 약 3개 필요했다면, 리튬이온전지는 1개만 있어도 충분했다.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극대화하려는 경쟁이 심해질수록 리튬이온전지 수요는 폭발적으로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것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것은 맞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죠. 가령 큐비트 1개에서 발생한 오류를 처리하는데 큐비트 9개를 써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 선임연구원은 “큐비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처리하려면 고성능의 큐비트 제어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 ...
- [영국유학일기] 악명 높은 난이도 낙제는 곧 퇴학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해야 했다. 보통 실험 수업이 많은 학과들이 강의 시간을 채우다 보니 종강도 늦어진다. 가령 화학과는 하루에 5시간을 실험 수업에 쓰고 있어서 강의를 3시간밖에 듣지 못한다. 종강이 늦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셈이다. 이렇게 1년 동안 배운 내용을 한 번에 몰아서 시험을 치르는 이유는 문제를 ... ...
- 엇, 이게 죽어? ‘랙’ 없는 온라인 게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뒤, 유저의 레이턴시에 따라 게임 내 디자인 요소들의 형태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가령 레이턴시가 긴 유저가 적을 조준하는 경우에는 적 캐릭터의 머리를 커 보이게 해 조금 더 맞추기 쉽게 하는 식이다. 이 교수팀은 유명 슈팅 게임인 ‘카운터 스트라이크’에 이 방법을 적용해 연구 중이며 ...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심장근육세포의 상태 변화와 약물 반응성 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가령 홀로그래피로 적혈구를 촬영해 위상정보를 복원한 뒤 입체 영상으로 만들었다. 이를 이용해 세포막의 운동성, 밀도는 물론 세포 내 수~수십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DNA와 단백질 분자들의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