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4,58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과학동아 l201612
- 무릎 관절염으로 만성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 17명에게 가짜 약을 처방한 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뇌를 관찰했다.그 결과 절반이 플라시보 효과를 보이며 통증이 크게 줄었다. 이 때 뇌의 중전두회 영역이 활성화됐다. 중전두회 영역은 의사 결정 과정과 집행 기능에 관여한다.연구팀은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12
- 0° 각도에서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 탄성파 탐사, 자기지전류(MT) 탐사, 전기비저항 탐사(위 사진), 중자력탐사 등 다양한 비파괴 탐사 장비가 적용된다.그 중에서도 전기비저항 탐사는 현무암질 마그마를 포착하는 데 효과적이다. 땅에 전기를 흘려 전기가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12
- 있었다. 신문 아래에는 ‘샤먼이란 무엇인가’를 특집으로 삼은 시사잡지가 있었다.“자기가 뭐라고 생각해요?”영희는 말없이 여성잡지 에세이, 담화문, 시사 칼럼, 의원 인터뷰 같은 것을 뒤적였다. 시킨 대로 ‘샤먼’마다 꼼꼼하게 동그라미가 쳐 있다. 이제 이 단어는 적과 아군이 동시에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12
- 있다”고 했다. 현실에서 맞닥뜨리는 인지부조화를 해소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이 바로 자기합리화이며, 이로써 사람들은 사과할 필요성을 스스로 축소한다.그렇다면 좋은 사과란 뭘까. 김호 대표는 지도교수인 정재승 교수와 함께 쓴 책 ‘쿨하게 사과하라’에서 3A를 제시했다. 첫째는 인정과 사과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12
- 비슷하다”며 “첫 비행 뒤 수십 년 뒤에 상용기가 보편화됐듯, 아직 초보적인 수준인 분자기계도 조만간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 것”이라고 말했다.두 번째 강연은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나섰다. 후성유전학과 오토파지 분야 전문가인 백 교수는 오토파지 현상이 특히 암과 치매와 ...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전자나 이온 등의 더 작은 입자로 쪼개져요. 이를 플라즈마라고 부르며, 여기에 강한 자기력을 걸면 플라즈마가 빛에 가까운 속도로 이끌리지요. 이렇게 빠르게 이끌린 플라즈마를 내뿜으면 우주선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답니다.실제로 지난 2013년, 미국항공우주국에서 제작한 전기엔진인 ... ...
- [인터뷰] “수학적인 사고가 제 삶의 밑천이에요!”수학동아 l201612
- 그 이후 고등학생 시절까지는 큰 고민 없이 컴퓨터를 공부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갑자기 음악과 문학을 좋아하게 되면서 대학 진학을 앞두고 부모님과 갈등을 겪었어요.부모님 뜻대로 서강대 컴퓨터공학과에 진학했지만, 고등학생 때와 비슷한 삶이 반복되면서 답답했어요. 그래서 학교를 그만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12
- 든다. 침팬지처럼 점잖게 앉아서 돌 받침대에 견과류를 놓고 돌을 톡톡 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주먹보다 큰 열매를 단단한 나무 둥치 위나 돌, 바닥 위에 잘 고정시켜 놓은 뒤, 아주 세심하게 고른 큰 돌을 머리 위까지 치켜 들었다가 온 힘을 다해 내리친다. 이렇게 위험해 보이는 행동을 수차례 ... ...
- [Career] “ 땅 속, 바다 아래 에너지 자원 있는 곳 어디든 가죠”과학동아 l201612
- 진학합니다. 실제로 학과에서 연구 비중은 어느 정도 인가요.송재준 입학하는 학생들의 자기소개서만 봐도 그런 친구들이 제법 많습니다. 우리 과에서 다루는 에너지는 크게 화석에너지와 대체에너지 분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체에너지는 지열, 풍력, 태양광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와 ... ...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과학동아 l201612
- 보든 기부를 더 많이 했다. 하지만 평소 사람들의 감정에 이입을 잘 하고 타인의 감정을 자기 것처럼 느끼는(공감) 사람들은 그 정도가 심할수록 오히려 기부를 덜 하는 경향을 보였다.세상 바꾸는 것은 공감이 아니라 의지나 결심다른 사람을 도와줘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실제로 행동에 옮기는 것은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