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d라이브러리
"
오차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08
겨우 20cm밖에 나지 않았다는 사실이야. 긴 줄자가 있다 해도 줄이 팽팽하지 않으면
오차
가 커질 텐데 말이야. 그래서 이집트 사람들은 줄자 대신 원판으로 거리를 쟀다고 해. 반지름을 알면 원판 1바퀴의 길이는 정확하게 알 수 있거든.원판의 원리는 피라미드에 실제로 나타나 있어. 피라미드의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08
바다의 종합안내시설국토부는 2002년 국내 해역 전역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의
오차
를 1m 이내로 줄인 DGPS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을 갖춘 선박은 한국 근해에선 언제 어디서나 바닷길을 찾을 수 있다. 군함은 레이더 위에 자신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레이콘’ 장비를 쓰기도 한다. 이런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08
카이로스 테크놀로지의브라운 이사는 “말도 안 된다”라며 일축했고, 이상철 박사도
오차
가 m단위로 너무 커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GPS 위성은 초당 3회 정도만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축구공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할 수 없다.여러 가지 위치 추적 기술이 스포츠에 쓰이고 있지만 ... ...
대중교통 정복기
수학동아
l
201007
계산값(200km×56.77원)+(90.8km×50.24원)=15916원멀리 갈수록 부담 적은 고속버스거리의
오차
를 생각하면 16100원과 비슷하다. 마찬가지로 부산까지 요금도 계산할 수 있다.최근에는 일반고속버스보다 우등고속버스가 더 자주 다닌다. 우등고속버스는 일반고속버스보다 조금 더 비싸다. 1~200km까지 1km당 82.9 ... ...
원 속에 파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07
볼펜의 굵기는 일정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컴퍼스로 그린 ‘원’의 반지름에는
오차
가 있습니다. 컴퓨터로 그린 원도 완벽하지 않습니다. 결국 완벽한 원은 오직 우리들의 상상 속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지요. 그렇다면 완벽하지 않은 원을 우리는 왜 공부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그 이유에 ... ...
선거제도 수학으로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1006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선거결과를 완벽히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여론조사에서
오차
가 얼마나 되는지는 ‘95% 신뢰구간에서 ±2.5%’와 같은 수치로 알 수 있다. 95%라고 하면 100명 중의 95명은 여론조사 결과대로 응답하고 나머지 5명은 그렇지 않다는 뜻이다.이처럼 여론조사는 소수의 의견으로 ... ...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006
원이 일치하도록 맞춘 뒤 투영한 방법이지. 이렇게 하면 그 경선 근처에서는 지형의
오차
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서 특정 지역의 지형도를 만들 때 주로 횡축 메르카토르투영법을 이용해.이처럼 지도를 만들 때 투영법은 중요하고 또 기본이 되는 원리야. 이런 투영법이 발달하면서 사영기하학이라는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05
이들 국가의 잠수함 활동범위는 아직 제한적이다. 앞으로 더 정교한 시스템이 나오면
오차
가 줄어들고 조종사 없는 비행기, 선장 없는 배, 기관사 없는 고속철, 운전사 없는 자동차 운행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05
쏴 반사된 빛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수시로 달까지의 거리를 재고 있는데,
오차
가 15cm 정도에 불과하다.멀리 떨어진 물체의 위치를 탐지할 때는 레이저 레이더, 즉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레이더가 마이크로파(파장 1~1000mm)나 밀리미터파(파장 1~10mm)의 전파를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05
한 시료를 측정하는 데 5일이 걸리고 누가 측정하느냐에 따라 같은 시료에서도 30% 이상의
오차
가 난다. 현재 미생물연료전지형 BOD센서는 국내에서 실용화에 성공해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현재 미생물연료전지 연구는 폐수나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동시에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의 실용화를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