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종자
자손
뿌리
근본
혈통
정자
d라이브러리
"
씨앗
"(으)로 총 50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06
했다.이런 눈부신 발전에 놀란 건 외국에서 온 기자만이 아니었다. 개인게놈 혁명의
씨앗
이 뿌려지고 있는 미국의 전문가들조차 혁신적인 발전 속도에 당황한 표정이 역력했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다나 워링 박사는 “개인게놈 분야가 너무 빨리 발전해 일반인은 물론이고 의사도 이를 어떻게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이다. 이 박사는 “산양의 배설물에서 나온
씨앗
의 발아율은 일반
씨앗
보다 3~4배 정도 높다”고 말했다. 산양이 숲의 농부 역할을 하는 셈이다.산양은 풀을 뜯어 먹고 살지만 풀을 건강하게도 만든다. 몸집이 큰 초식동물은 그만큼 풀도 많이 뜯어 먹는다. 산양도 ‘대식가’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생각을 했어요.
씨앗
을 뿌려야 그
씨앗
이 자라 꽃이 되는 것처럼, 꿈도 도전이라는
씨앗
을 뿌리지 않으면 절대로 피어나지 않 는다는 것을 알았어요.우주인 훈련 과정이 힘들지는 않았나요?몸이 힘들진 않았어요. 하지만 언어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죠. 러시아인 훈련 교관은 러시아 어밖에 할 줄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05
쓰지요.”발아기 문을 열어 선반을 꺼내니 큼직한 깍두기만 하게 자른 스펀지 가운데
씨앗
이 하나씩 들어 있다. 발아한 개체는 공장 한쪽에 있는 육묘 선반으로 옮겨 약 3주간 키운 뒤 재배 선반으로 옮겨 역시 3주 정도 키운 뒤 수확한다. 육묘 선반은 백색광 LED가 촘촘히 놓여 있어 재배 선반보다 ... ...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수학동아
l
201005
쌍떡잎식물의 운명을 지고 살아갑니다.외떡잎식물인 벼는 세 번째 잎이 나올 때까지는
씨앗
의 양분을 먹고 자라요. 그러다가 네 번째 잎이 나면서 뿌리를 내리지요. 마치 벼가 숫자를 셀 수 있는 것처럼 정확해요. 벼의 뿌리는 한 가닥의 굵기가 모두 비슷해요. 할아버지 수염처럼 생겼다고 해서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05
자라는 해바라기 속에도 있거든요. 해바라기는 꽃 안쪽에
씨앗
이 가득 박혀 있어요.
씨앗
은 한가운데서 시작해 각각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으로 나선 모양을 그리지요. 시계방향의 나선은 총 34줄, 반시계방향의 나선은 55줄이랍니다. 솔방울도 위에서 보면 8개와 13개의 나선을 확인할 수 있어요. ... ...
한의학으로 본 ‘애가 타다’
과학동아
l
201005
떨어지고 열매가 맺히는 것처럼 수렴하는 기운을, 수(水)는 다음 생명을 준비하는
씨앗
처럼 저장하는 기운을 나타낸다.이 중 간은 목(木)에 해당한다. 간은 봄철에 파릇파릇 돋아나는 새싹처럼 기운을 위로 올라가게 만든다. 화가 날 때를 생각해보자. 화가 나면 기운이 올라가 눈이 빨갛게 되고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5
보통
씨앗
보다 성장 속도가 훨씬 빠르다. 채 센터장은 “새가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씨앗
주변의 불필요한 물질이 없어지고, 따뜻한 체내에 있으면서 성장이 촉진된 것으로 보인다”며 “새와 나무가 서로 생존을 위해 공생하고 있는 흥미로운 결과”라고 말했다.최근 홍도와 흑산도는 때 아닌 ... ...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
수학동아
l
201005
아! 저기 날아가는 민들레
씨앗
이 보이나요? 노랗게 핀 꽃과 후~ 불면 사방으로 날아가는
씨앗
으로 유명한 식물이 바로 민들레죠. 민들레는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수학을 잘 알고 있어요. 민들레는 줄기가 없이 잎이 땅에 딱 붙어서 나요. 그냥 보기에는 삐죽빼죽 난 잎 같지만 실제로는 놀라운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
과학동아
l
201004
가지는 먹어버리고
씨앗
만 덩그러니 남겨놓으면, 거기에서 애벌레가 깨어난다.
씨앗
이 아니라 큰가시대벌레의 알이기 때문이다.큰가시대벌레는 다른 대벌레와 마찬가지로 수컷을 만나지 않고도 번식할 수 있다. 수컷은 긴 날개를 갖고 있어 짝을 찾으려고 단거리 비행을 할 수 있지만, 암컷은 날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