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빗장
vault
나사못
걸쇠
문빗장
벼락
d라이브러리
"
볼트
"(으)로 총 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01
다루던 중이었다. 사고 발생 후 이러한 계획은 수정되었다.그 후 무스그레이브는
볼트
와 너트에 심취하기 시작했다. 특히 그의 신경은 온통 특정한 나사에 대해 쏠려 있다. 'A래치'라고 불리는 이 나사는 결코 보통 나사는 아니다. 이것은 2백10㎝ 길이의 막대 모양이다. 이것은 그랜드 피아노 ... ...
포항공대, 20억 전자
볼트
급 선형가속기 완성
과학동아
l
199401
포항공대 가속기연구소가 건설중인 방사광가속기의 핵심시설인 선형가속기가 완성됐다. 선형가속기는 처음 입자를 가속시켜주는 곳으로 입자가 원형방사광에 들어가기 전 충분한 속도(빛에 가까운 속도)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총연장 길이는 1백50m.20억eV의 생산능력을 갖춘 이 선형가속기는 ... ...
물리- 전기력과 만유인력은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10
이동하게 하여 필요한 일을 시키는 것이다.우리가 보통 쓰는 건전지의 전위차는 1.5
볼트
이며 양극이 음극보다 전위가 1.5
볼트
높다는 뜻이다. 이를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위가 높은 양극에서 전위가 낮은 음극으로 전하가 스스로 이동하여 외부에 일을 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2쿨롱이 이동했다면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08
만들어야 했다.물론 인간들은 나름의 통제 시스템을 마련해 놓는다. 공룡들은 1만
볼트
의 전류가 흐르는 담장 안에서 수시로 이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컴퓨터시스템의 통제 하에서 살도록 돼 있다. 또 이들 공룡들은 자체 생식이 불가능하도록 암컷들만 만들어졌으며 영양대사 과정에서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03
있다.파인더의 외부에는 파인더를 움직일 수 있도록 3개의 조정
볼트
가 붙어 있다. 이 조정
볼트
를 조금씩 밀고 당기면서 목표 물체가 파인더의 십자선 교차점에 오도록 파인더를 움직여 조금씩 조정한다. 정확한 위치에 왔으면 조절나사를 고정너트로 굳게 잠궈 고정한다. 물론 지상물체를 통해 ... ...
옛 소련 원자로 허점 투성이
과학동아
l
199209
옛소련제) 등 철강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철강은 핵분열시 발생하는 1MeV(1백만전자
볼트
) 이상의 고속중성자에 의해 서서히 약화된다.재료공학자들은 이 약화현상을 1969년에야 밝혀냈다. 탄소강에 포함된 불순물, 즉 구리나 니켈 인 황 등이 이 약화현상을 촉진한다는 것이다.원전건설에는 보통 6~1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08
달려 있다.다음은 증폭부분이다. 아주 미약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장치로 마이크로
볼트
(㎶)정도의 미약한 전기진동신호를 포착하여 증폭시키도록 만들어져 있다.끝부분은 기록장치이다.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기 신호를 도면 위에 그리는 자동장치로 각 부위별로 그리고 뇌파종별로 기록하는데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06
싸우는 풍경은 10년내에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대신 자동판매기를 주먹으로 두들기다 50
볼트
전류의 짜릿한 응징에 깜짝 놀라게 될지도 모른다.전자화폐의 등장으로 탈세를 하거나 마누라 몰래 봉급을 빼돌려 술집에서 향략비로 즐기게 되는 일은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월말이면 한달간 ... ...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204
인위적으로 일으킨다는 것은 힘든 일이다. 핵융합을 가능하게 하려면 수십만전자
볼트
(eV, electronic volt·1eV는 전자가 1V의 전위차를 지나면서 얻는 에너지)로 핵을 가속시켜 주면 된다. 이것은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이다. 즉 소형가속기를 가동시켜 주로 학술적 연구를 하고 있는데 규모가 작아서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04
있는 기계손이 개발 되었다. 스탠퍼드/JPL로 명명된 이 세 손가락의 요괴인간은 손 안에서
볼트
와 너트를 꿰마출 수도 있었다. 이보다 더 발달된 유타/MIT의 로봇손은 사람보다 3배나 센 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민감도는 사람과 유사할 정도로 정밀했다. 한 동작시범에서 그 로봇은 달걀을 깨서 그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