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순"(으)로 총 3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과학동아 l199812
- 현재 식량 문제는 식량의 절대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모순에 의한 것이다. 식 량 문제는 식생활 개선, 인구의 조절 등으로 해결될 수 있다. 생명공학의 국제적 경쟁논리에 빠져 들지 말아야 한다."결국 배심원들은 피고 '유전자 조작 식품'에 대해 유죄인지 무죄인지 ...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과학동아 l199812
- 계산하려 할 때, 작은 양을 계산할 때에도 무한대의 양이 튀어나오게 한다. 이러한 모순 때문에 1930년대의 물리학자들은 초기에 형성돼가던 양자장론을 포기하고 더 이상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2차대전 후에 램이동현상이 발견됨으로써 양자장론의 문제를 다시 부각시킨 것이다.파인만, ... ...
- 인조인간 로봇과학동아 l199810
- 끌었다. 우주선의 중앙통제 컴퓨터가 승무원들 몰래 비밀 명령을 부여받고는 논리적 모순에 빠지자 사람들을 하나씩 제거한다. 인공두뇌의 사고나 행동양식에 관한 중요한 본보기가 되는 작품이다. 이와 비슷한 설정이 1979년작 ‘에일리언’에도 나오는데, 여기서는 상업우주선에 탑승한 인조인간 ... ...
- 양자가설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점과학동아 l199804
- 추가했다. 때문에 레일리의 식에서 도출됐던 파장이 짧아지면 에너지가 무한정 많아지는 모순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플랑크의 식은 모든 파장의 빛에 대해 잘 맞았고, 드디어 흑체복사의 문제가 풀리게 됐다(그림 1). 흑체복사에 관한 공로로 빈은 1911년, 플랑크는 1918년에 각각 ... ...
- 2. 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과학동아 l199801
- 되면 28일 동안 똑 같은 거리를 운행해야 되므로 상당히 빨리 움직여야 되는 것이다. 이런 모순으로 양력은 1달의 길이를 정함에 있어서 천체의 운행에 따른 자연의 시간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에 비해 음력은 원칙을 보다 철저하게 지켰다. 1달의 길이를 정할 때 양력은 ... ...
- 삶의 소우주 화장실과 욕실과학동아 l199801
- 차지하고 있다.그러나 씻어내는 샴푸기능과 모발에 특정 성분을 남기는 컨디션기능이 모순이기 때문에 '2 in 1' 개념은 잘못됐다고 생각했다. 또한 처방의 측면에서도 샴푸의 주성분인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린스의 주성분인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함께 존재하도록 하는 것은 샴푸개발자에게는 꿈과 ... ...
- 빛의 본성과 광전효과과학동아 l199801
- 시도 자체가 무리다.현대의 양자역학에서는 빛이 파동과 입자의 이중성을 지녔다는 것을 모순으로 생각지 않고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다만 우리가 흔히 관찰하는 거시적인 영역에서는 빛이 파동과 같은 성질로 관측되는 면도 있고, 입자와 같은 성질로 관측되는 면도 있는 것으로 보면 크게 무리가 ... ...
- 이집트 룩소르 신전과학동아 l199711
- 것을 절감했다. 그런데 인간이 만든 건축물 앞에서 인간의 왜소함을 느끼는 것은 또 무슨 모순일까.룩소르에서 나일강을 건너 서쪽에는 고대왕국의 왕들이 매장된 '왕들의 계곡'이라고 불리는 곳이 있다. 피라미드 시대 이후 이집트의 파라오들은 도굴로 미라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의 ... ...
- 5. 스포츠능력과학동아 l199711
- 보면 지구력과 근력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두 능력은 인체의 구조상 서로 모순관계다. 인체의 근육은 근력을 발휘하는 특성에 따라 속근과 지근으로 나뉘는데, 근육조직 속에는 이들이 모자이크 형태로 얽혀 있다. 속근은 순간적인 힘을 발휘하기에 적합하고, 지근은 오래도록 운동을 ...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펑크과학동아 l199709
- 띠고 있다는 점이다.SF해설가 박상준씨에 따르면 “사이버펑크는 일견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반항하는 듯이 보이나, 사실 그들이 거부감을 갖는 대상은 아직 고도 정보화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대다수 구세대들의 문명적 구태의 총체”라고 한다. 그들은 ‘과학기술의 발달이 인류에게 더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