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지막"(으)로 총 3,1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07
- 세포내공생하기 이전, 즉 진핵생물로 진화하기 직전의 마지막 세포를 진핵생물의 공통된 마지막 조상(LECA, Last Eukaryotic Common Ancestor)이라고 부른다. LECA의 정체에 대한 힌트가 지난해에 나왔다. 북극해 심해열수구에서 얻은 DNA를 분석한 결과 고세균의 새로운 계통인 로키아르카이오타(Lokiarcha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07
- 추론, 갈루아의 군, 콜리바긴-플라흐 방법 등이다. 와일즈 교수와 수학자들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수학의 ‘대통일이론’인 랭글런즈 프로그램에 첫 발을 디뎠다. 랭글런즈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영역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움직임을 말한다.와일즈 교수가 사용한 수학기법을 ... ...
- [Tech & Fun] ‘김여사’는 없다과학동아 l201607
- 쓰고 배려하는 일을 피한다는 연구도 있다(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 720-730).마지막으로, 만에 하나 집단 간에 선천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으로 부족한 집단에 속한 사람을 조롱하고 비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신이 상대적으로 나은 집단에 있다고 해서 우쭐댈 필요도 . ...
- [과학뉴스]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과학동아 l201607
- 보통의 유비퀴틴화 과정은 비정상 단백질에 E1, E2, E3 세 효소가 연쇄적으로 붙고 마지막에 유비퀴틴 단백질이 붙는 순서로 이뤄진다. 그러나 냉방병 원인균에서는 E3 효소 하나만 있어도 유비퀴틴이 목표인 변성 단백질에 붙으면서 유비퀴틴화 과정이 진행됐다.루오 교수는 “사람의 몸에서도 E3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06
- 가본 적이 있는 기자는 서둘러 암호를 풀기 위해 팔을 허공에 휘젓는 모습을 상상했다.마지막으로 김 대표가 언제 가장 보람을 느끼는지 물었다. 그는 “우리가 만든 걸 보고 사람들이 기뻐하고, 즐거워할 때 에너지가 솟는다”고 말했다. 앞으로 그와 라온스퀘어가 만들 즐거운 세상은 어떤 곳일지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06
- 이 거대한 지오데식 돔은 누구나 사진을 찍고 싶어 할 만큼 인기를 끌었답니다.이 여행의 마지막 코스는 바로 아름다운 중문해수욕장입니다. 이곳에서도 간단한 모래실험으로 수학적 원리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원기둥과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이 구의 반지름과 같고 ‘구의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
- 지카를 잡을 수 있는 항체를 연구 중이다.범행 수법 : 분화 중인 피질세포만 노린다마지막 퍼즐은 범행 수법이다. 지카바이러스가 유산이나 소두증과 관계가 있다는 것은 통계적으로 확인됐다. 최근에는 실험쥐에서도 지카바이러스가 발생을 억제한다는 결과가 학술지 ‘셀’에 발표되기도 했다(doi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06
- 재밌으니까요. 그리고 계속 생각만 하다가 한두달 뒤에 갑자기 해결하기도 했어요.마지막으로, 교수님이 생각하는 ‘수학’이라는 학문의 매력을 한마디로 말해주세요.깔끔함이요. 제가 고등학교 때 추상적으로 핵융합 원리 같은 걸 생각하는 게 좋았다고 말했잖아요. 그래서 사실 대학에 입학해서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06
- 이 기사를 읽을 때 쯤에는 CNU세일-1이 한국에 없다. 어쩌다 보니 ‘CNU세일-1을 보는 마지막 외부인’이 된 기자가 찾아가고 이틀 뒤, CNU세일-1은 최종 기술 심사를 위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 옮겨졌다가 4월 1일 네덜란드로 출국했다. 현재는 최종 발사지인 미국에서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06
- 전자공학부 교수(인공 골격 및 관절 개발)가 선정됐고, 삽입형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마지막 연구팀이 추가로 선정될 예정이다. 신경 다발에 직접 전극을 꽂아 넣기 위한 수술이 동반되는 만큼, 다수의 의료진도 연구단에 포함됐다.오 박사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 1987년 박사 학위를 받은 뒤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