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력
지능
이성
d라이브러리
"
두뇌작용
"(으)로 총 269건 검색되었습니다.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12
6공의 과기처장관 평균수명은 1년미만. 정치권 변화에 따른 부침(浮沈)이 심해 장기적 안목의 정책개진은 공염불이 되기 일쑤다.일반적으로 국력을 재는 척도는 경제나 군사부문의 몇가지 지표가 쓰여져 왔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과학기술에 관련된 지표들 이를테면 과학기술투자비율이나 1인당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8
현재의 감소속도가 계속 유지된다면 1천5백년 후에수 지구자기장이 완전히 없어질 수도 있다.천재 아인슈타인이 어렸을때 나침반(羅針盤)이 남북을 가리키는 것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이야기는 너무도 유명하다. 중국 여씨춘추(女氏春秋, B.C. 249년~B.C. 237년)에 이미 자석(磁石)에 대한 기록이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06
'게이지 이론'과 '매혹입자'로 소립자물리학연구의 선두에 서있던 이휘소박사는 77년 6월16일 급작스런 자동차사고로 사망했는데…1977년 6월18일 중앙일보는 다음과 같은 기사를 싣고 있다. '소립자물리학의 현대이론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한 한국 출신의 이론물리학자 벤자민 리 박사(42)가 16일 일리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06
최근의 뇌연구는 노인들의 뇌기능이 기존의 속설과는 달리 젊은이와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나이를 먹음에 따라 신체의 기능이 둔화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다. 눈이 침침해지고 피부는 축 늘어지고 근육은 탄력을 잃는다. 그러나 정신까지 흐릿해진다고 믿어왔던 속설은 잘못된 것일지 모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03
초창기 컴퓨터연구는 뇌연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60년대이후 양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전해왔는데 최근 이를 재결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다.이 세상에는 두가지 생각하는 장치가 있다. 하나는 우리의 두뇌이며 또 하나는 컴퓨터다. 컴퓨터가 탄생했을 때 컴퓨터는 '인공두뇌'라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03
인간의 의식과 행동은 신경세포나 신경전달물질 분석만으로 해명되지 않는다.최근 많은 영화팬들의 눈물을 자아내고 있는 '사랑과 영혼'이라는 영화를 보면, 못다한 인연을 남겨두고 아깝게 죽은 한 남자의 애절한 사랑이야기가 감동적으로 펼쳐지고 있다.이 영화를 볼 때 대다수의 관객은 영혼의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03
인간의 뇌는 어떤 발달과정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게 됐을까? 또 기능은 어떻게 분화돼 있는 것일까?인간이 누리는 정신적인 경험의 폭과 깊이는 다른 동물에 비해 월등하다. 인간의 두뇌가 다른 동물에 비해 발달해 있으므로 우리는 이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해면과 같은 하등 동물에서부 ... ...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01
컴퓨터 보급이 늘면서 최근 국산프로그램이 대거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글」기술로 재무장한 외국산 패키지들이 우리 안방에까지 파고들어 전망은 그다지 밝지 않다.개인용 컴퓨터가 일반인에게 놀라운 속도로 보급되어 우리 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 요즘 우리는 '패키지 소프트웨어' ... ...
로봇 곤충들
과학동아
l
199012
인공지능계의 대가인 마빈 민스키씨 덕분에 MIT는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로봇기술발전센터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로봇분야를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는 컴퓨터공학과 교수인 호주출신 로드니 브룩스씨도 MIT에 있다. 브룩스씨는 아주 작은 것들을 머리속에 떠올리고 있다.소설이나 영상매체속의 ... ...
「두뇌 기능 지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199011
양전자 발광 단층 촬영장치 등을 활용해 두뇌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사람뇌의 세세한 움직임을 영상으로 담는 일이 가능할까, 말을 하고 색을 인식하고 팔을 움직일 때 뇌의 어느 부분이 어떻게 활동하는가를 리얼타임(realtime )으로 잡아 낼 수 있다면 '과학 최후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