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댐"(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의 대사막과학동아 l198612
- 지금으로서는 분명치 않다.인간은 이 확대되고 있는 사막을 녹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댐을 만들고 심층지하수를 찾아내 깊은 관정을 파고 염수의 담수화나 증발하는 수분을 응집하는 장치의 개발 등을 시도하고 있다. 소금기에 잘견디는 내염성(耐塩性)작물재배 방법이나 품종개량도 추진되어 ... ...
- 금강산댐과 한강물줄기과학동아 l198612
- 북한은 명산 금강산의 물줄기를 막아 2백억톤이나 되는 거대댐을 만들고 있다. 그 군사적 악용가능성과 북한강의 수량감소는 우리에게 커다란 걱정을 자아내고 있다. 그럼 공학상 대응할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일까? 겸하여 수도권의 생명의 물줄기인 한강 수계를 총 점검해본다. ...
- PART 3 세계의 거대 댐과학동아 l198612
- 이 댐이 완성되면 다시 50%의 수력발전량이 늘어나게 된다는 것이다.중공당국은 이 댐을 건설하여 그 전력으로 화중지역(華中地域)에 시멘트 비료등 산업을 진흥,새로운 공업지역을 건설하여 양자강 상ㆍ중류의 수위조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56년부터 특별기획부를 두어 전국의 일급 수리학자 ...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과학동아 l198612
- 상대국과의 긴밀한 협의가 필수적인 전재조건임이 분명하다.이런 시각에서 금강산댐의 건설문제는 남북한간에 충분히 논의되어야 할 것이며, 우리측은과학ㆍ기술적인 연구검토를 거쳐 완벽한 대응책을 마련해야만 할 것이다 ... ...
- 수달의 생생한 모습 포착과학동아 l198611
- 계곡, 설악산, 오대산등지에 살고 있었으나 계속되는 하천의 오염으로 먹이가 감소되고 댐건설 등으로 서식처가 파괴돼감에 따라 거의 멸종상태에 이르고 있다. 더구나 수달은 고급모피로도 인기가 있어 사람들에 의해 남획되기도 한다.이처럼 수달이 사라져가자 82년부터 천연 기념물 제330호로 ...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과학동아 l198610
- 것은 바다해조류인 재갈매기가 한강까지 올라온 사실이었는데, 이는 한강 상류에 많은 댐이 생겨 강물과 민물이 교차됨으로써 물고기의 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1984년에 관찰된 조류는 46종 3천4백8개체이며, 관찰된 조류는 중대백로가 최우점종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과학동아 l198610
- 이때문에 한강의 어류와 댐의 위와 아래를 자유롭게 내왕할 수 없다. 그뿐 아니라 댐에서 수시로 방출하는 물의 양이 많은 까닭에 한강의 수위변동이 심하여 어류번식을 저해하고 있다. 둘째, 잠실대교밑과 행주대교의 하류쪽 4㎞ 떨어진 곳에 수중보(水中洑)를 막아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려 ... ...
- PART ③ 막대한 하수처리수의 방류과학동아 l198610
- 한강종합개발구간의 수역은 어느정도 수질이 개선될 것이 예상되나 하수관거말단인 서울댐 이하는 하수처리를 현 수준으로 완벽하게 처리한다 하더라도 방류기준인 BOD 30ppm 이하로 처리후 방류하게 되므로, 수질오염도가 높을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현상은 행주산성으로부터 임진강, 한강하구 및 ... ...
- 중공 양자강에 1300만㎾의 발전소 건설과학동아 l198608
- 삼협댐 계획이 이윽고 실현 단계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라 관측하고 있다.이 계획은 댐 높이 2백10m, 저수량 7백억㎥, 총발전량 1천3백만kw(원자력발전소 13개분 상당)로 대규모의 것이다. 건설비도 1백60억~2백억달러의 거대 프로젝트다. 기술면에서도 자금면에서도 중공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것이다. ...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8607
- 태워 일을 얻을 수 없은 상태로 된다. 이것이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 법칙이다. 댐 위의 물이 떨어지는 동안에 바뀌를 돌리거나 전기를 일으키지만 일단 바닥에 떨어진 물은 더이상 일을 할 수가 없다. 이처럼 엔트로피는 더이상 일을 할 수 없는 사용불가능한 에너지 양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 ...
이전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