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통
운행
수송
의사
생각
의견
마음
뉴스
"
소통
"(으)로 총 2,30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잠깐 내려 바람을 쐬기는 한다). 이 과정에 급박한 상황이 생겨도 지구와 실시간으로
소통
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판단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NASA에서도 화성탐사의 성공여부가 기술도 기술이지만 우주인들의 전문지식과 특히 정신력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 ...
“상경대 출신 CEO가 못하는 걸 공학대 출신 CEO는 할 수 있습니다”
2015.10.19
가능하지만 상경대 출신 CEO가 뒤늦게 공학을 배우긴 어렵습니다. 엔지니어와의 현장
소통
이 갈수록 중요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국내 100대 기업 CEO 중 공학도 출신이 60%에 이릅니다.” 17일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 5층 시진핑홀에서 열린 대중강연 ‘토크 투 CEO(Talk to CEO)에서 이현순 두산 ... ...
1.6% 차이가 인간-침팬지 운명 갈랐다
2015.10.11
다른 삶을 살게 됐다. 단순한 울음소리가 아니라 ‘언어’라는 상징적인 기호로 의사
소통
을 하고 복잡하고 체계적인 사회를 구성할 수 있는 것도 1.6%의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것. 저자는 인간의 생물학적 진화 과정에 그치지 않고 진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문명이 주변 생태계와 계속 ... ...
[신나는 공부]"강의보단 코칭이죠"
동아일보
l
2015.10.06
서비스도 제공했다. 이 학원 대입연구소장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전화로 꾸준히
소통
하면서 한 달에 10회 이상 직접 만나 상담한 학생도 있다”면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지도와 상담을 하지 못하는 학원은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교육비, 줄까? 수능이 쉽게 ... ...
비만 할아버지 때문에 손자는 당뇨병에 걸린다?
2015.10.04
구성돼 있어 쉽고 재미있게 읽히는 것도 장점이다. 고대생물을 주제로 대중과 다년간
소통
한 경험을 살려 각종 사례들을 알차고 알기쉽게 구성했다. 다양한 사진과 일러스트도 흥미를 더한다. ... ...
논문에서…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4
교신저자는 연구책임자(Principal Investigator)이면서 동시에 저널을 비롯한 외부와
소통
하는 사람이다. 이공계 대학원생이 논문을 쓸 때는 대부분 지도교수가 교신저자를 맡는다. 연구자들이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일은 제1저자가 바뀌는 일이다. 논문의 업적이 100점이라면 제1저자와 교신 ... ...
‘다음’ 뗀 카카오, 모바일에 다걸기
동아일보
l
2015.09.24
신임 임 대표는 이사회 직후 “대표로 내정된 뒤 한 달 동안 조직을 파악하고 임직원들과
소통
하며 카카오의 미래에 대해 고민해왔다”며 “모바일과 연결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속도’를 높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카카오의 플랫폼 경쟁력이 잘 발휘되도록 혁신적 아이디어를 지원하는 ... ...
남극물개가 자기 자식 찾는 비법은 ‘목소리’
2015.09.03
자신의 위치를 알리다가, 거리가 가까워지면 소리의 구성 성분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소통
한다”며 “새끼를 찾아 내는 과정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어미 물개는 상황에 따라 다른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진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2015년 융합클러스터 지원사업 최종 선정 결과 발표
2015.08.26
융합클러스터는 NST 소관 출연연을 비롯해 기업 및 대학 연구자들이 상시적으로 만나
소통
하고 논의할 수 있는 개방형 연구 사업이다. 사회적 이슈와 산업계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융합연구 과제를 발굴하고, 기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에 선정된 융합클러스터는 임무연계형 1개와 ... ...
싱글 족의 반론 ‘걱정마, 난 행복해’
2015.08.25
경우 혼자 살 때와 타인과 함께 살 때 삶의 만족도가 거의 유사했다. 반면 타인과 의사
소통
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에 생기는 애착관계를 즐기는 ‘목표접근 성향’인 사람들은 타인과 함께 살 때 느끼는 삶의 만족도가 대폭 증가했다. 게르지 교수는 “모든 성향에서 타인과 함께 사는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