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7,599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때 수집한 생체
데
이터가 스트레스 '바로미터'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스트레스와 연관된 더 많은 바이오마커를 식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향후 모든
데
이터를 조합해 개인별 스트레스 해소 전략을 개발할 예정이다. 블룸필드 교수는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려면 생체 변화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실시간으로 스트레스 수준을 확인할 수 ... ...
공 경로 예측하고 상대 슛 차단…구글 딥마인드, 로봇 축구 시연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81% 더 빠르게 걷고, 302% 더 빠르게 회전하고, 34% 더 빠르게 공을 차고, 넘어진 후 일어나는
데
63% 더 적은 시간이 걸렸다. 시뮬레이션(왼쪽)과 실제(오른쪽) 축구 환경. 실제 경기장은 가로 4m, 세로 5m 크기로 두 로봇과 공을 추적하기 위한 모션 캡처 시스템이 설치됐다. Tuomas Haarnoja 제공 연구팀은 ... ...
암호화폐 기반 이론 만든 이스라엘 수학자 '튜링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이스라엘 수학자 에이비 위그더슨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소 교수가 컴퓨터과학 부문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튜링상'을 수상했다. Dan ... 교수는 2021년 "이산수학과 이론 컴퓨터 과학이 현대 수학의 중심 영역으로 자리매김 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는 평을 받으며 아벨상을 수상한 바 있다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메커니즘은 약물 개발 과정에서 부작용의 위험성을 줄이는
데
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약물이 미각의 수용체를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최적의 약물 경로를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TAS2R14 단백질이 입이 아닌 ... ...
1000년 걸릴 유아 장내미생물 연구, AI·디지털 트윈으로 '확'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점에서 아직은 임상 현장에 적용할 단계는 아니라고 보았다. 연구팀은 “보다 많은 양의
데
이터를 바탕으로 훈련을 반복해야 한다”며 “미묘한 차이까지 포착할 수 있는 상황에 이를 수 있는 단계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 ...
흘러가는 생각 속 긍정·부정 감정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연구는 그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연구가 생각과 감정의 개인차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일으키는 생각과 감정의 패턴을 파악해 추후 사람의 정신 건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교수는 “뇌 내 미세아교세포로 약물 또는 유전체 전달 조절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를 확장해 혈관뇌장벽 통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초음파활용 약물전달기술, 또는 나노입자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 ... ...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 임명 77일만에 사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상욱 과학기술수석이 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위원회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과학 ... R&D 예산을 대폭 증액하고자 한다"고 밝히며 R&D 예산 삭감에 따른 과학계 반발을 진화하는
데
나서기도 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관련된 연구 결과가 MDPI를 통해 연구자들에게 바로바로 공유되면서 빠른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됐다"는 것이 MDPI의 평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DPI를 비롯한 오픈액세스 출판기업들이 '논문공장'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오늘날 MDPI는 명실공히 세계 최대의 오픈액세스 ... ...
난청 치료 길 열어…베일 싸인 '귓속 단백질'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G단백질과의 결합을 유도했다. 이를 통해 신호를 활성화함으로써 소리를 감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조 교수는 “선천적으로 난청과 균형 감각 기능에 장애가 있는 환자들이 많다”며 “이들을 위한 획기적인 치료법과 약물 개발에 이번 연구가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