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현지
장식띠
지점
작업장
공사장
곳
d라이브러리
"
현장
"(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령은 왜 나타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사진기 온도계 지문채취장치 망원경 휴대용전화 따위의 각종 장비를 갖추고 유령의 출몰
현장
을 포착하려고 했으나 성과가 없었다.전자장치로 녹음 시도유령의 존재를 확인하려는 시도 중에서 가장 극적인 것은 전자음성 현상(Electronic Voice Phenomenon)이다. EVP는 보통 청각으로 들을 수 없는 음성을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서두르고 있는 분위기다. 농림부는 우선 벼와 고추를 올해 전국 주요 표본지역에서
현장
재배해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명되면 2000-2001년 중 이들 품종의 씨앗을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하지만 유전자변형 작물이 건강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대답은 1-2년 내에 얻어지기 어렵다. ... ...
탐정과 괴도의 한판승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신출귀몰한 괴도는 전혀 증거를 남기지 않은채 범죄
현장
을 빠져나간다. 탐정은 명철한 두뇌와 결단력을 바탕으로 경찰도 포기한 범인을 끈질기게 추적한다. 때로는 최고 ... 못한다. 고대 오이디푸스에서 현대 공인탐정까지 범죄의 비밀을 파헤치는 치열한 두뇌싸움의
현장
을 살펴보자 ... ...
고대) 증인찾아 탐문한 오이디푸스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해결하는 또다른 열쇠는
현장
에 있던 증인을 찾아 탐문하는데 있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테베의 왕 오이디푸스는 ‘친부를 살해하고 친모와 결혼한’ 패륜아를 찾기 위해 증인을 동원해 탐문수사를 벌인다. 불행하게도 패륜아의 정체는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이었다. 그리스의 소포클레스가 ... ...
18세기 전문 탐정의 시조 비도끄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것뿐이었다.비도끄는 범죄수사에 과학을 도입한 최초의 인물로도 평가받는다. 그는 범죄
현장
의 모든 증거품을 현미경으로 면밀히 조사했다. 또 지문이 범인을 확실하게 밝혀내는 수단이라는 점을 인식했다. 필적분석결과도 중요한 증거자료로 채택했다.그는 늘 “범죄에서 독창력이란 있을 수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효용가치는 없다. 그러나 이미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야가 있다. 사건
현장
에서 발견되는 혈액이나 머리카락으로부터 유전자 검색을 통해 범인을 알아내거나 확증하는 것이 그 예다.하지만 앞으로는 다르다. 이는 미래 사회를 그리는 SF영화만 봐도 짐작할 수 있다. 영화 '가타카'의 경우 ... ...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기술을 제대로 전수 받을 수 있기 때문이란다. 지난 30여 년 동안 독일의 대학과 산림
현장
에서 활동했던 고 교수가 들려준 이 이야기는 숲이라는 것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것처럼 숲을 다루는 기술이나 숲을 볼 수 있는 안목도 하루아침에 생겨나는 것이 아님을 말해준다.전시 행정을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인공위성을 찾아가
현장
에서 수리해 주듯, 우주왕복선은 고장난 인공위성을 찾아가
현장
에서 수리해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허블우주망원경도 이런 출장수리 서비스를 몇차례 받은 바 있다.또 우주왕복선은 그동안 조종사들만 탈 수 있는 우주여행의 문호를 비조종사들에게도 개방했다. ... ...
인조인간 로봇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기계장치’라는 광범위한 통칭으로 사용된다. 더이상 SF에만 등장하는게 아니라 산업
현장
에서 실제로 쓰이고 있으며, 꼭 인간과 비슷한 모양으로만 생기지도 않았다.사이보그(cyborg)는 ‘사이버네틱 오가니즘’(cybernetic organism)의 약자로서 1950년대 의학자들이 창안한 개념이다. 애초의 발상은 인간의 ... ...
조선백자 뒤에는 숲이 있었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있었다. 비록 오늘날까지 이어지지는 못했지만, 17세기 1백여년 동안 지속된 보속원칙의
현장
을 분원시장절수처(分院柴場折受處)에서 찾을 수 있다.조선시대의 산림이용과 관련된 기록을 살펴보면 흥미 있는 내용을 발견할 수 있다. 분원시장절수처에 대한 기록이 그것이다. 분원이란 왕실에서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