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시간을 길게는 수시간까지 연장할 수 있는 원리를 발견해 지난 8월 광학 분야의 최고
학술
지인 ‘네이처 포토닉스’에 게재했다.함 교수는 “현재의 양자메모리 방식은 저장시간이 너무 짧아 양자 통신에 쓸 수 없다”며 “양자메모리의 저장시간을 늘리는 일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 ...
음치 원인은 뇌 영역 간 소통 부족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사이에서 소통이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신경과학 분야의 국제
학술
지 ‘뉴로사이언스’ 8월호에 실렸다.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학자 사이키 루이 박사는 실험 참가자 20명을 대상으로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음치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투여한 결과 약 180일간 정상 혈당을 유지했다는 연구결과가 2006년 의학 분야의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메디슨’에 발표되기도 했다.국내에서는 보건복지가족부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을 중심으로 미니돼지의 췌도와 심장, 각막을 영장류에 이식하는 동물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서 안전성과 ... ...
세포의 꿈틀거림까지 영상에 담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속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가시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생명과학분야
학술
지인 ‘엠보 저널’에 발표했다.수상돌기가시는 나무줄기에 난 가시처럼 수상돌기 측면에 돌출한 구조다. 수상돌기가 다른 뉴런의 축색돌기와 만나 시냅스를 형성하려면 수상돌기가시가 뻗어 나와야 ... ...
기술과 경영의 다리가 되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대등하다.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학술
지뿐만 아니라 사회과학논문인용색인(SSCI)
학술
지에도 많은 논문을 게재한다. 딱딱함 보다는 부드러움, 기술에만 치우친 스페셜리스트(specialist)보다는 기술과 경영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제너럴리스트(generalist)를 지향하는 곳이 기술경영연구실이다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한 힘에도 저항해 벽에 오래 붙어 있을 수 있다.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미국 물리학
학술
지인‘APS저널’에 실었으며 모기 다리를 모방해 물 위에 떠다니는 나노로봇을 개발할 예정이다. 흡혈귀로 알려진 모기가 의학 연구를 돕는 일부터 태양전지, 나노로봇 같은 여러 발명품으로 다시 태어나고 ... ...
LED, 21세기 밝힐 경제적 친환경 빛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LED의 광 효율이 30% 이상 높아진다”고 밝혔다. 박교수팀은 연구결과를 재료분야 국제
학술
지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 지난해 4월호에 발표했고,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포토닉스’는 같은 해 5월호에 이 논문을 소개했다. 광결정 이용해 빛 추출 업! “LED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선 ... ...
버려진 TV서 인체조직 재생물질 ‘쪽쪽’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인체 조직을 재생하는 물질로 바꾸는 방법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인 ‘저널 그린 케미스트리’ 7월호에 게재됐다.연구팀은 LCD 패널에서 추출한 물질에 물을 접촉시키고 마이크로파로 열을 가했다. 그 뒤 에탄올로 세척했다. 이 같은 공정을 거친 PVA는 인간 면역체계를 ... ...
오줌으로 가는 자동차 나올까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영국왕립학회에서 출간하는 화학분야 국제
학술
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 7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오줌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성분인 요소에 착안했다. 요소를 전기분해하면 수소기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요소는 분자식이 CO(NH2)2로 분자 ... ...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관장하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 채 교수의 연구결과는 2002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추계
학술
대회에 발표됐다.무언가에 골똘히 집중하는 일과 귀신을 보는 현상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앤드류 뉴버그 교수팀은 티베트 불교 명상가들의 뇌를 분석해 ‘뇌가 고도로 집중한 상태’를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