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카메라
"(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TX) 한대를 구입해 지금까지도 이
카메라
를 갖고 천체사진을 찍고 있는 이혁기씨는 "이
카메라
가 국내에서는 별사진을 가장 많이 찍었을 것"이라고 자랑한다. 집이 시골(경기도 송탄)이라 별보는 일이 도시 아이들보다 조금은 유리했지만 아마추어천문가들과 활발히 교류하는데는 오히려 장애가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때문에 부분적으로 투과된다.이외에도 작업과정을 계속 감시하기 위한 현미경(비디오
카메라
부착), 가공후 정밀검사를 위한 주사형 투과 현미경(STM,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배율 10만~1백만배), 정밀조립을 위한 미동조정기(이것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것으로 식별가능한 최소거리가 0.01㎛정도로서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상업용 관측위성 자료를 군사목적에 활용하고 있다. KFA-1000이라는 위성탑재용
카메라
의 사진영상은 해상도가 5m 보다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90년 9월 중순에 촬영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사진에서 미국의 군용수송기와 보병진지 그리고 기갑부대의 위치들을 선명하게 보여 주었다. 우주전 벌일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육식먹이를 지나다니는 길에 던져 놓는 것은 물론 첨단센서를 장착한 자동
카메라
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런 수준에 접근하려면 먼저 촬영대상에 대한 사전지식을 철저히 습득해야 하고 장비도 고급화해야 겠지요."현재 김정명씨는 교육매체 제작사인 미국의 '이미지 카'로부터 생태계의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모습을 나타낸다. 이들 혜성은 천문대 망원경이나 위성(인공천체)관측용 슈미트
카메라
의 관측구역과는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망원경은 박명(薄明)한계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의 목표물인 은하나 위성들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혜성이 나타날 때는 작은 쌍안경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의해 지능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패턴인식'(pattern recognition)이라고 한다.
카메라
를 통해 들어온 영상정보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정보로부터 기호적 표현을 얻어내는 과정을 각각 영상처리 음성인식이라고 하여 인공지능의 중요한 연구분야로 취급하고 있다.사람은 ... ...
천체사진 촬영법 ㉻ 피지백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조심해야 한다. (사진4)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어둠속에서
카메라
를 경통에 부착할때
카메라
파인더속에 가이드 망원경의 후드가 가려지는 것이 보이지 않아, 고생해 촬영한 사진이 엉망이 될 때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극축을 아주 정밀하고 조심스럽게 맞추어야 하는 데, 이 연습을 많이 ... ...
자신이 찍은 사진을 TV로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혁신을 일으킬 신제품이 미국 코닥사에 의해 발표됐다. '포드CD'라 불릴 이 시스템은 35㎜
카메라
필름의 영상을 디지털로 변화시켜 컴팩트 디스크(CD)에 기록하고 TV로 재생가능하며 프린터도 할 수 있다.여기에 사용될 디스크의 개발은 네덜란드의 필립스사가 맡아 내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점상으로 나타내야 한다. 이때 별이 필름면에서 점상으로 나타나는 시간은 초점거리 50㎜
카메라
의 경우 6.88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촬영하는 대상의 하늘에서의 고도와 밝기에 따라 길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별을 점상으로 찍을 수 있는 시각은 (표)와 같으나 필름면에서의 빛 번짐이 있기 때문에 ... ...
허블이 보내온 토성 사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모습을 찍어 보내왔다.이 사진은 지구로부터 3억9천만㎞ 떨어진 거리의 토성 모습. 광대역
카메라
로 잡았다. 컬러 이미지는 파랑 초록 빨강의 3가지 사진을 중첩해서 얻었다.이 사진은 토성의 북극지방 상공의 대기 모습이 비교적 상세하게 찍혔는데, 이는 보이저 탐사에도 잘 잡히지 않았던 부분.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