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조직망
시스템
제도
이론
학설
주의
d라이브러리
"
체계
"(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식물, 미생물과 동물, 미생물과 미생물 상호간의 생태적 연관성을 가지고 조화있는 삶의
체계
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예컨대 흙에 근거를 두고 있는 식물은 흙에서 근권(根圈)이라는 특수한 환경요건을 가진다. 식물의 뿌리가 있는 부분을 근권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에는 많은 종류의 영양소 ... ...
3.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수 있고 인간이 그곳에 정착할 수 있다. 따라서 국소중력에 의한 식물생장 반응의 연구는
체계
적으로 다뤄져야 한다. 여기서 또 하나의 문제는 인간이 우주정복을 위해 화살의 시위를 당겨야만 하는가라는 우주윤리의 문제다. 우주식민지 시대가 올 수 있을지는 모르나 인간은 매우 조심스럽게 ... ...
2 윈도우즈 열풍은 계속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PC시장의 판도변화를 그려보았다. 그렇다면 PC를 움직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즉 운영
체계
(OS) 측면에서는 어떠한 변화가 모색되고 있는가. 그 어느때 보다도 OS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PC가 고성능화 되면서 PC를 움직이는 운영체제 또한 ... ...
동물계통분류학 대이은 김훈수·김원 부자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불린다. 동물계통분류학은 동물간의 유연관계(類緣關係)를 조사해 계통적으로
체계
를 세우는 학문.김훈수 교수는 해방 직후부터 생물학계에 투신, 오로지 동물계통분류학 연구에만 매진해 왔다. 그동안 한국동물학회의 초창기 주역의 한 사람으로서 현재 36년의 긴 역사를 자랑하는 동물학회지의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특성에 맞는 산업기술구축이 먼저 요구되고 있다.넷째로 이제까지 효소의 대량생산
체계
가 세워져 있지 않았다. 실제로 효소를 산업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가용한 효소의 양이 너무 적어서 산업적인 규모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 효소는 산업현장의 주역의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말에는 간선도로의 신호제어와 함께 고속도로관제가 유기적으로 운영되는 종합 교통관리
체계
가 수립되리라 본다.이상은 국내나 외국에서 현재 실용화하고 있는 교통관리시스템을 알아봤다. 남은 지면에서는 21세기의 도시교통관리를 목표로 선진외국에서 추진중인 연구를 자동안내시스템을 ... ...
청소년상담 통신망 등대BBS 운영하는 현직교사 서영창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밤새도록 학생들이 찾아와 자신들의 이야기를 털어놓고 간다. 등대지기 혼자서는
체계
적인 상담이 어렵기 때문에 현직교사와 대학생 30여명으로 구성된 상담교사모임이 뒤를 받쳐주고 있다. 이 모임은 한달에 1, 2회 모여 청소년상담에 관해 회원들끼리 토론하는 식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춘 교통수단임을 실제로 보여 줄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체계
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뚜렷한 목표가 설정돼야 한다. 예를 들면 서울과 신공항 영종도 사이(72km)의 수송수단은 자기부상열차로 한다든가, 사상과 김해간(11.2km)을 자기부상으로 연결한다든가,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분리된 사건의 결과라고 해석했다. 남극해가 그때 형성돼 현재와 같은 해양순환(해류
체계
)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그 전에는 테티스 바다의 난류가 덥혀 주던 바다들에 한랭한 남극 심해류가 멀리 흘러와 치솟으면서 수온과 기온을 떨어뜨렸다는 것이다.그러한 사건은 마치 1983~85년간의 엘 니뇨(El Nino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다는 아닙니다. 폴라인들 중에는 학술적인 관심과 애착을 가지고 천문학 전반에 걸쳐
체계
적인 연구를 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별을 유심히 관찰하다 보면 우주의 생성에 대해 당연히 의문을 갖게 되고 자연의 질서를 알고자하는 욕구가 솟구치기도 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술부와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