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바이러스 새 치료법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면역센터가 신종 감기마다 치료법을 발견하지 않으면 안되는 절망적 상황에 비유하면서 '
생물학
적 컴퓨터 면역 시스템'이란 것을 제안하고 있다.이 시스템은 자신이 병원체를 찾아 내 파괴하는 인간 면역시스템의 놀라운 기능을 모방한다는 것이다. 이 소프트웨어에서 불가결한 요소는 대식 세포에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위해서 열심히 노력한 결과 목이 길게 늘어나는데 성공했다는 것이다. 문화적 진화는
생물학
적 진화와는 달리 획득형질이 밈에 의하여 복제되어 다음 세대로 전달된다. 요컨대 문화적 진화는 본질적으로 라마르크 진화론의 과정이다.두번째의 유전자 점령인류의 진화가 사람의 몸에서 태어난 ... ...
4. 남·녀 성결정의 열쇠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남성은 통치나 지도에 적합하다는 것이다.이 이야기는 성경향에 대한 가장 오래된 '
생물학
적' 설명일 것이다. 거의 모든 생물의 성이 두가지이듯 사람의 성도 둘이다. 남성과 여성이 그것이다. 남성과 여성은 어떻게 다르고 그 결정은 언제 이루어지는가.23번째 염색체 구성에 따라 성이 결정된다성을 ... ...
2. 성은 왜 암·수 둘 뿐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된다고 해도 그 집단에서 짝을 만날 확률은 95%까지 증가하니 말이다.최근 옥스포드대
생물학
자들은 많은 생물들이 두가지 성만 가지고 있는 이유를 '이기적 유전자'론으로 설명했다. 즉 세포내 게놈 간 갈등(Intragenomic conflict) 때문이라는 것이다. 세포 내부를 바라보는 전통적인 견해는 모든 유전적 ... ...
5. 동성애,
생물학
적 근거 있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유전자가 성경향을 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다.동성애의
생물학
적 요인을 둘러싼 연구는 사회적인 영향이 크므로 이들이 현 시점에서는 잠정적인 것에 불과함을 명심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 ...
3. 짝짓기 선택 암컷의 특권이라는데…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생각했다. 다른 모든 사람들도 극히 최근까지 그렇다고 믿었다.거의 한세기 이상
생물학
자들은 강력한 진화적인 힘으로서 암컷의 성선택(female choice)을 일반적으로 무시했다. 그러다가 20세기초 위대한 통계유전학자인 피셔(R.A. Fisher)가 저서 '자연선택의 유전설'(The Genetical Theory of Natural Selec ...
6. 일부일처 가족제 최선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결과 사랑은 4년으로 끝난다는 학설을 제시,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또 바람기, 불륜도
생물학
적으로는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설파, 화제가 되고 있다.이런 점에서 인간사회의 일부일처제는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것이 그의 이론이 이끄는 방향이다. 특히 과거 여성의 경제력이 없을 적에는 그것이 ... ...
한국의 새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월동지역 텃새 지역 등 모두 2백41종에 달하는 분포도 등.이 타이틀이 가진 강점은
생물학
적 근거를 세분화한 분류법에서 두드러진다. 지역별 분류와 함께 서식환경별, 목(目)별, 천연기념물별 등으로 분류 구성된 이 타이틀은 새에 대한 문외한들도 친근감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쉽고 편리한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때문이다. 따라서 열중성자를 이용한 간섭 및 회절실험은 물리학 재료공학 화학 및
생물학
에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다.최근 세계적으로 관심을 끄는 고온초전도체의 특성을 밝히는 연구를 비롯해 다양한 종류의 고체 연구에 안 쓰이는 곳이 없을 정도. 화학분야에서는 무기화합물의 구조를 밝히는데 ... ...
2. 역대 수상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많은 수상자가 탄생했다. 최근에는 물리학상의 경우 소립자, 의학생리학상의 경우 분자
생물학
, 화학은 생화학에서 수상빈도가 높아지고 있다.수상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국가별 기초과학의 발달 수준을 읽을 수도 있다. 가령 수상자들을 국가별로 계산해보면 일부 선진국에 편중돼 있음을 알 수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