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콩의 변신은 무죄! 콩으로 두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만들고 남은 비지는 보통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져요. 지난해 12월, 싱가포르 난양기술대학 윌리엄 첸 교수팀은 버려지는 비지로 플라스틱을 만들어 환경을 보호할 방법을 찾았어요. 연구팀은 두유를 만드는 공장에서 얻은 비지를 발효시켰어요. 발효 과정에서 미생물들은 비지 속 영양분을 ... ...
- 디지털 세상, 안심하고 즐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안녕 친구들? 나는 디지털 세상을 안심하고 즐길 수 있게 돕는 사이버 보안관이야!어린이과학동아가 지난 6월 10일, 굿커뮤니티 규칙을 발표했다고 들었어.누구나 즐겁게 ... 회장), 정제영(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선미숙(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 연구교수), 네이버, ... ...
- [특집] 디지털 세상, 안전하게 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테이가 이내 나쁜 표현을 배워 사용했기 때문이랍니다. _ 인터뷰정제영(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굿 커뮤니티 캠페인을 잘 이끌어 주세요! Q 디지털 리터러시는 왜 필요한가요?디지털 리터러시란 정보를 탐색해 활용하고 이를 통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뿐 아니라 디지털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직업이 있는지 처음 알았어요! 우리나라에서 의대와 보건대학원을 마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로 유학을 갔습니다. 이곳에서 사회역학에 대해 알게 돼 진로를 바꿨지요. 한국에 있을 때 진료를 보며 무력감을 느낀 적이 많았습니다. 허리 디스크 환자에게 “좀 쉬세요!”라고 말하면 환자가 “쉴 수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누가 요즘 손으로 그림을 그려? 드로잉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그림을 그리거나, 화가의 작업을 도와주는 드로잉머신을 만들어 왔어요. 미국 시카고예술대학에서 드로잉머신을 연구하는 파블로 가르시아 교수는 웹사이트 ‘드로잉머신스(drawingmachines.org)’에서 드로잉머신에 대한 기록이 1425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설명해요.당시 언급된 드로잉머신은 ‘선형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두루미, 초보 아빠 두일이 피가 나도 알을 품던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눈에 보일 만큼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답니다. ※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 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서서히 청력을 잃는 ‘베토벤 생쥐’예요.6월 4일 미국 보스턴어린이병원과 하버드대학교, MIT 브로드연구소 공동연구팀은 베토벤 생쥐의 청력을 찾아주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동물은 귓속 달팽이관의 감각수용기관인 ‘유모세포’가 소리 정보를 뇌로 전달해 청각을 느껴요. 실험에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 바꿔요. 라이소자임 효소는 세균을 죽여 우리 몸을 지킨답니다. 도움★최정훈(한양대학교 화학과 교수), 김가람(원주 태장중학교 과학교사) ...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주고받던 사람은 해커의 존재를 바로 알아챌 수 있지요.지난 6월 16일, 중국 과학기술대학교 판지안웨이 교수팀은 1120km 떨어진 두 기지국에서 양자암호를 주고받는 실험에 성공했어요. 양자암호를 통해 광자의 정보를 알아챌 수 있는 최대 길이는 지금까지 144km였어요. 이번 실험으로 8배 이상의 먼 ... ...
-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집중 호우 경향이 클 것으로 보았어요. 지난 1월 국립기상과학원 송환진 박사와 서울대학교 손병주 교수 역시 최근 집중 호우 경향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최근 20년의 여름철 강수 위성 자료, 지상 자료를 분석해 한반도의 강수 유형이 양극화 추세를 보인다고 밝혔죠.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