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식
형식상
정규
식
범식
공인
d라이브러리
"
공식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제너럴사와
공식
대리점 계약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한미시스템은 미국 데이타제너럴사와
공식
독점대리점 계약을 체결하고 한미시스템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정원시스템'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그동안 컴퓨터업계에 '8년전쟁'이라고 불릴 정도로 오랫동안 끌어왔던 미국 데이타제네럴(DG)사의 국내 대리점권 싸움은 일단 막을 내린 셈이다. DG사는 ... ...
시간과 공간의 고정관념을 타파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c²△m만큼의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이 아인슈타인의 유명한
공식
인 에너지 질량
공식
E=mc²이다. 즉 질량과 에너지는 같은 개념이며 서로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물론 이것이 원자탄과 원자력 발전소의 기본원리가 된다. 특수상대성이론이 완성한 전자기학 1905년에 발표한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일반 상대론을 적용시키게 되면 하나의 간단한
공식
즉'블랙홀은 우주에서 제일 단순한 거시적 물체이다'에 도달하게 된다. 블랙홀을 형성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지저분하다 할지라도 일단 별의 붕괴로 블랙홀이 형성되면 그 중력장은 질량과 각 운동량으로서만 ... ...
막스 플랑크가 푼 양자론의 실마리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뜻) 비로소 플랑크의
공식
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에 도달했다. 다시 말해서 올바른
공식
을 위해서는 에너지가 '불연속'이란 가정이 필요불가결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던 것이다.이 결과를 독일물리학회에서 발표했을 때 많은 사람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그러나 이 결과는 곧 아인슈타인, 보아 등 ... ...
프로그램 능력을 키우자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230)프로그램 설명문번호 140은
공식
1)을 사용하여 여행시간을 계산한다.문번호 210은
공식
2)을 사용하여 사용한 기름의 갤론수를 계산한다.문번호 220은
공식
3)을 사용하여 여행비용을 계산한다.출력줄에는 해당 내용을 출력시킨 프로그램 문번호가 오른편의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다.위 프로그램에서 ... ...
한국의 MIT지향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걸쳐 미국 영국 프랑그 독일에서 해외 한국인 과학자의 유치활동을 벌였다. 이런 종류의
공식
적인 활동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 홍보활동은 해외에서 상당한 바람을 불러 일으켰던 것으로 보인다. 이때 해외 과학자들의 설득에 큰 수완을 보였던 김학장은 그들의 반응을 이렇게 설명했다."처음엔 ... ...
AIDS, 1천만명이나 감염 여성들에게도 마구 번져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의 '하프다말러' 박사가 말했다.지난 6월말 파리에서 열린 WHO 과학회의에서 '말러'박사는
공식
적으로 집계되지 않은 AIDS 감염자는 전 세계적으로 1천만명가량된다고 추측하고 이제는 호모 섹스가 성행하는 미국, 유럽, 오스트렐리아 말고도 아프리카에까지 AIDS가 급격히 번지고 있다고 말했다 ... ...
인공지능은 전산학의 전부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위한 몇가지 제언을 요약해서 정리해주시지요."앞으로 '컴퓨터는 인공지능'이라는
공식
이 성립할만큼 인공지능은 전산학의 전부라고 해도 지나치치 않을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겠지요. 87년부터 모든 전산프로젝트는 인공지능 프로젝트로 될 것입니다. 기초연구, 도구(Tool)개발, 독자적 ... ...
애플 호환기종 컴퓨터 대량 수출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학습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내용 구성을 학교 교과 과정과 완전히 일치시켜 수학
공식
의 원리 응용 등의 단계별 반복 학습을 통해, 수준 높은 문제를 스스로 풀수 있는 능력을 키워 나갈수 있다 ... ...
공학도는 현장을 익혀야 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자질은 어떻다고 보십니까?"미국에서 본 한국 학생들은 성적도 좋고 성실했읍니다. 특히
공식
의 유도나 계산 속도와 정확성은 두르러집니다. 그러나 석사나 박사학위 논문을 쓸 때 느낀 겁니다만 한국 학생들은 논문 제목을 선택하는데 자주성이 부족해 교수가 정해주는 일이 빈번하지요. KAIST에서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