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06
꼭대기(고도 15km)에서 가느다랗게 솟구치는 메가번개다. 보통 초속 100km로 전리층 바로
아래
인 고도 40~50km까지 도달한다. 블루 제트는 0.1~1ms 정도 지속돼 스프라이트보다 빨리 사라지고 스프라이트와 달리 지상 번개와 연관이 없다.블루 제트가 생기는 원인을 우주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에서 찾는 ... ...
죽음을 부르는 마른 몸
과학동아
l
200705
먹은 음식을 토하는 습관이 있다면 폭식증일 수 있다. 미국 다트머스대 의대에서 개발한
아래
의 질문에 스스로 대답하며 섭식장애의 위험을 진단해 보자. □ 남들은 나보고 말랐다고 하지만 내 눈엔 뚱뚱하기만 하다.□ 운동을 하지 못하면 불안하다.□ 무얼 먹을지 늘 신경 쓰인다.□ 살이 찌면 ... ...
바닷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
무엇입니까?나 선장 : 바다의 수면이 낮아지면 바다가 갈라져 길이 생깁니다. 얕은 바다
아래
있던 땅이 드러난 것이지요.‘모세의 기적’이라고나 할까요?기자 : 바닷길은 왜 생기죠?나 선장 : 달과 지구 사이에는 만유인력이 작용합니다. 달과 지구의 힘겨루기 때문에 바다의 높이가 변하는데, 달의 ... ...
지구온난화가 전염병 부추긴다
과학동아
l
200705
어장을 형성한다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잘 혼합되는 수심 2백m 이내의 해양 부위표층 바로
아래
수심 2백-1천m에 존재하는 지역으로 수온이 급격히 감소하는 층해구에 있는 깊이 팬 곳생태계 내에서 한 생물이 차지하는 먹이와 공간의 지위 즉 한 생물이 어디서 서식하며 무엇을 먹고, 무엇에 먹히며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05
2배나 더 빠르게 올라갔다.대양대순환의 원리북극 주변의 차갑고 짭짤한 물은 밀도가 커
아래
로 가라앉으며(01) 적도의 뜨거운 해류인 멕시코만류(02)를 북대서양까지 끌어올리는 엔진 역할을 한다. 대양대순환이 있기에 영국은 따뜻한 겨울을 보낸다. 그러나 그린란드나 북극해의 얼음이 녹으면서 ... ...
1. 거세지는 여풍 파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05
활약이 기대된다. 이들의 움직임을 주목할 시점이다.*PISA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감독
아래
실시하는 15세 이상 학생의 언어, 수학, 과학 능력 평가다. 정규 교육과정보다는 실생활에 필요한 응용능력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알파걸 과학에 빠지다 1. 거세지는 여풍 ... ...
다섯번째 우주여행객은 억만장자 프로그래머
과학동아
l
200705
방법으로 열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이 직접 이동해서 열이 전달되는 것이다 물을 끓일 때
아래
에서 열을 받은 물이 위로 상승해 물 전체에 열이 퍼지는 것이 대류의 예이다매개물질 없이 열이 전달되는 방법이다 태양열이 매개물질 없이 지구에 다다르는 것은 복사의 대표적인 예이다물질들이 태양 ... ...
뉴턴도 몰랐던 중력 원인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0705
생각했다. 달걀을 공중에 매달아 놓고 개미를그위에 올려놓으면 개미가 달걀의
아래
쪽에서 거꾸로 붙어 움직일 수 있다. 그는“개미는 달걀에 붙어 있다는 사실만 알지 자신이 거꾸로 붙어 있다는 점은알지 못한다”며“사람은 작고 지구는 거대하므로 지구에 사는 사람은 달걀에 붙어 있는 개미와 ... ...
야광구름 생성의 범인은 온실가스?
과학동아
l
200705
대기를 식히는 역할을 하는 셈이다.또 하나의 가능성은 여름철 극지방의 더운 공기가
아래
층의 먼지를 밀어 올려 구름을 만드는 응축핵이 됐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 먼지는 우주에서 대기로 떨어진 운석의 파편일 가능성도 크다. NASA는 인공위성에 구름의 화학적 특성을 밝힐 태양빛 엄폐장치와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05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아래
에 있는 두틈한 근육인 '엄지맞섬근' 때문에 사람의 엄지는 강한 힘을 내며 크게 회전할 수 있다운동성을 갖는 단세포 미생물의 일종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와 같은 기생성 원생동물은 수인성 전염병의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