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65건 검색되었습니다.
2주간 코로나 격리 환자 2204명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4
밝혔다. 4일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200명 안쪽인 198명으로 집계됐지만 전국에서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새롭게 발생하며 여전히 우려되는 상황인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관련 13명이 추가 확진돼 총 1152명이 확진됐다. 사랑제일교회 관련 추가 전파 장소로는 종교시설이 1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우두접종에만 좁게 쓰이다가 파스퇴르 이후로 현대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 시
작은
닭 콜레라였다. 파스퇴르는 닭 콜레라균을 배양해 건강한 닭에 투입하는 실험을 계속했다. 지금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그 유명한 코로나19를 포함해서!)가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임을 알고 있고 어떤 병원체가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일종의 ‘다단계 병합’을 관측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마치 눈사람을 만들 때처럼,
작은
크기의 별질량 블랙홀을 단계적으로 뭉쳐 중간질량 블랙홀을 만들 수 있다는 사례를 적어도 하나 확인했다"며 "이런 식의 생성 방식으로 헐씬 거대한 초대질량블랙홀까지 만들 수 있는지, 아니면 이 ... ...
코로나 신규 확진 267명...나흘연속 200명대·위중증 환자 124명으로 급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신규 확진자가 300명대에서 200명대로 줄어들었지만 수도권 교회와 도심집회 외에도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전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언제라도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위중·중증 환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중환자 병상 확보 등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수도권 집단감염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덩어리로 생각됐다. 그런데 고성능 현미경으로 들여다보자 P과립들이 올리브기름 속
작은
식초방울들이 서로 만나 하나로 합쳐지는 것 같은 현상이 관찰됐다. P과립이 액체라는 말이다. 그리고 막이 없음에도 세포질과 분리돼 존재할 수 있는 건 역시 올리브기름 속 식초방울처러 상이 분리된 ... ...
자동차, 기계 등 다양한 기기의 '떨림', 전기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나노에너지 논문 캡쳐 송 선임연구원팀은 에너지 하베스터 내부에 움직이는 추를 넣는
작은
발상의 전환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주변 진동에 따라 추가 스스로 위치를 바꾸며 고유진동수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주변 진동이 바뀌면 추가 다시 움직이며 하베스터가 새로운 외부 진동수와 같은 ... ...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2만명 넘어...하루새 235명 늘어난 2만182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399명을 기록했다. 집회 관련 추가 전파가 일어난 곳도 11곳으로 늘었다. 지역별로 크고
작은
집단감염 또한 이어지고 있다. 서울에서는 영등포구 권능교회 관련 환자가 12명 늘어난 29명으로 집계됐다. 동작구 서울신학교도 환자 9명이 추가돼 31명이 집단감염됐다. 마포구 군인권센터는 직원 4명과 ... ...
공기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빠르게 측정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바이러스를 빠르고 손상 없이 채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큰 침방울 외에 1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미세한 바이러스도 99%까지 손상 없이 채집이 가능하다. 여기에 두 단백질이 서로 열쇠와 열쇠구멍처럼 맞춤형으로 결합하는 항원과 항체 반응을 이용한 농도 검사 기술을 덧붙여 바이러스 양을 ... ...
125살 맞은 X선, 지금도 코로나19 대응 최전선에서 맹활약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만들었다. 전선의 부상병들에게 즉시 사용할 수 있어 부상병 치료에 큰 도움이 됐다. ‘
작은
퀴리’라는 애칭도 얻었다. 제임스 가필드 미국 대통령은 1881년 괴한의 저격으로 두 발의 총탄을 맞았다. 당시 의료진은 총알을 찾지 못해 애를 먹었고 결국 가필드 대통령은 숨을 거뒀다. 반면 그로부터 ... ...
일론 머스크는 왜 돼지 뇌에 생각 읽는 칩을 심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많은 신경으로 연결된 부위다. 뉴럴링크가 지난해 처음 공개했던 칩의 형태는 귀 뒤에
작은
통신 모듈이 있었으나 이번엔 칩 속에 통신 모듈이 탑재됐다. 외부에서 보면 칩을 심었는지 알 수 없는 셈이다. 머스크는 “두개골 속 ‘핏빗’과 같다”고 설명했다. 핏빗은 이용자의 운동량이나 심장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