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288건 검색되었습니다.
흡연하고 난 자리에 장시간 노출돼도 유전자 돌연변이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프루 탤벗
분자
세포및시스템생물학과 교수팀은 흡연을 하지 않고 건강한 사람 4명의 콧속 상피세포를 얻어 배양한 뒤 3시간 동안 3차 흡연물질에 노출시키는 실험을 했다. 그리고 RNA를 추출해 분석한 결과 산화스트레스나 세포 ... ...
반도체 테스트·약물 전달...과기부, 기술사업화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부위에만 반응할 수 있는 ‘프로브’를 활용해 동시에 여러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분자
진단 검사기술 및 관련 신서비스 개발을 추진한다. 아토피 피부염 예측 진단과 아토피 질환 조기 예방 등 아토피 검사 및 진단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육대 공동연구법인은 나노버블과 ... ...
단백질 구조와 유전자 변이 동시에 분석해 유전자 진단 정확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이를 통해 질병 예측 확률을 높이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분자
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 ‘뉴클레익 애시드 리서치’ 14일자에 발표됐다. 개인의 질병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는 정밀의학기술로 현재 가정 널리 쓰이는 것은 차세대염기서열해독기술(NGS)을 이용한 ... ...
이질적인 소재의 경계에서 제조혁명 씨앗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서로 다른 물질이 만나는 경계면을 뜻한다. 계면이라고도 한다. 특히 원자나
분자
단위까지 연구하는 소재 연구에서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은 더 커진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물질의 크기에선 두 물질을 붙이는 인터페이스 영역은 표면적의 극히 일부일 뿐이지만 ㎚ 단위에서는 전체 면적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딜티아젬(diltiazem)을 대사하는 효소 유전자가 규명됐는데(bt4096로 명명), 딜티아젬
분자
에서 아세틸기를 없애는 반응을 촉매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식으로 연구자들은 모두 17개의 대사 관련 효소 유전자를 찾았다. 인체 장내미생물 76가지 균주와 경구용 약 271가지를 대상으로 대사 여부를 ... ...
디스플레이 발광효율 높이는 ‘원편광’ 구현 신개념 설계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이런 특성을 도입하는 방식이 적용됐다. 연구팀은 입체발생 중심이 전혀 없는
분자
들로만 발광소재를 구성했다. 개발한 발광소재 설계법을 활용, 입체발생 중심이 필요없는 원편광 발광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최석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원편광 발광재료 설계에 대한 기존 상식이 ... ...
미·러는 왜 화성 메탄 존재 여부 놓고 다른 결과를 내놨나
과학동아
l
2019.06.22
실린 어떤 장비들보다 민감하고 정교한 장비”라며 “대기 중 입자 1조 개 가운데 메탄
분자
가 하나만 있어도 탐지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2018년 4~8월 가스추적궤도선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메탄 농도가 큐리오시티의 측정값보다 10배에서 최대 100배 이상 낮은 0.05ppbv 수준으로 ... ...
실시간 감염병 감시기술로 '제2 메르스 사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채취한 치료에서 신종 또는 변종 바이러스나 슈퍼박테리아를 검출할 수 있는 휴대용
분자
진단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다. 사람에게 전염되기 전에 공기 중이나 토양에 있는 병원균을 미리 검출해 감염을 막을 수 있다. 0.1fM(펨토몰, 1fM은 1000조분의 1M) 만큼의 소량 시료에서도 병원체를 정확하게 ... ...
1㎕ 체액만으로도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나노소포체는 핵산, 단백질 및 지질과 같은 중요한 생물학적
분자
가 포함된 나노 크기의 막 주머니로 2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이상 1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미만의 크기를 가졌다. 세포들은 이 나노소포체를 일종의 편지처럼 주고받으며 정보를 ... ...
“민감한 방사선 안전성, 과학적 데이터로 검증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이진경 원자력병원 생활건강증진부장 “민감한 주제인 방사선의 안전성 또는 위험성을 과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확히 검증하고 알리는 게 UNSCEAR의 정 ... 방사선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와 활동을 해왔다. 올해부터는 국제
분자
병리학협회 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