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 발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핵연료를 교체할때 발전을 중단해야 한다.(58만 7천kW용량의 고리 1호기의 경우 장전된
천체
핵연료의 3분의 1(16t)을 매년 교체하기위해 75일 가량 가동중단). 또 중수에 비해 열중성자 흡수가 많은 보통물을 사용하므로 3% 정도의 농축 우라늄을 써야하고 쓰고난 뒤에 재처리 해야한다. 핵에너지 이용의 ... ...
안에서 찍은 첨성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백제의 고분벽화의 성숙배치도(星宿配置圖)와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는
천체
변화에 대한 기록으로도 알 수 있듯이 경주의 첨성대는 이것을 총정리한 문화 유산으로 성좌의 운행 또는 일월식등의 기록에 대해서는 현재의 천문학도 경의를 표할정도로 고대의 천문학 수준은 높았다 ... ...
핵은 격렬한 분화구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찾으면 된다.국립천문대에서는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4월23일~24일 이틀간 전국적으로
천체
관측을 개최할 예정이다. 핼리가 어느 정도 쇠퇴했을지라도 관측고도나 관측환경을 고려하면 상당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
소련 제3세대 우주정거장「미르」발사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중량을 늘이면서'거대한 우주실험실'로 꾸며갈 계획이다.모주르는 한척마다 공학,
천체
물리학, 생물학, 의학실험 등의 독립된 기능을 갖게 되며 자체에 '전원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정거장의 태양전지면적도 샐류트7의 42㎡에서 76㎡로 1.8배 넓혀지고 사진전송기능도 훨씬 강화되었다. 또 지금까지 ... ...
블랙홀의 정체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거리에 있는 푸른 큰별인데(질량 약30배태양) 이 둘레에 보이지 않는 질량 약 1.5배 태양의
천체
가 5.5일마다 한번씩 돌고 있으며 그반경은 50km로 추정되고 있다.검은 구멍을 빨려 들어 가는 개스의 큰 소용돌이는 반경이 1백만km에 달하고 검은 구멍 가까운 곳에서는 도너츠처럼 굵은 단면을 보이는데 ... ...
우주개발 30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지구의 위기(인구,자원,식량)문제를 여유있게 해소해주기엔 너무나도 작고 협소한
천체
이다. 약 3백50년쯤 이용대상이 되고 그후에는 사람들로써 초만원을 이루게 될것이라는 계산이 나왔다. 다음엔 어디로 가나. 과학자의 눈은 자연이 우리 태양계의 행성(行星)들에게 향하게 되지 않을수가 없게 ... ...
노벨과학상을 본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 1937~시카고대학서 연구, 현재 명예교수 28세때 블랙홀 예언 찬드라세카르는
천체
물리학 분야의 이론 연구자로 별의 진화에 관해 많은 연구업적을 남겼다. 그의 50년간에 걸친 연구생활은 별을 이론적으로 살펴가는 생활이었다. 그는 28세 때 이미 '블랙홀'의 존재를 예언하는 논문을 발표하는 ... ...
대덕연구단지 첨단 과학기술의 메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위한 과학교육의 매체로서 활용될 예정이다. 주요시설로는 상설전시관 특별전시실
천체
과학실 옥외전시장 노천극장이 손꼽히는데, 상설전시실에는 자연과학 및 산업기술 전반에 대한 실물 모형 사진 등이 전시되고 특별전시실에는 과학전람회에서 입상한 작품과 발명품 및 새로운 기술로 개발된 ... ...
점점 커지고 화려해지는 핼리혜성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앞으로도 많다. 국립천문대에서는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4월23일~24일 이틀간 전국적으로
천체
관측회를 가질 예정이다. 경기도 일산에서 관측을 계속하고 있는 연세대 천문대산하의 한국 아마추어천문가회에서도 핼리의 고도가 높은 제주나 남해안에서 관측회를 개최할 예정. 3월 중순경에는 ... ...
핼리혜성 다시오다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민족보다 우수한 자질을 발휘했다. 신라시대의 첨성대를 비롯, 조선 세종시대의 우수한
천체
관측기구가 이를 증명한다. 핼리혜성에 관한 많은 관찰도 진행되었음이 틀림없다. 다만 우리과학사에 대한 연구 미비로 많은 기록을 찾아내지 못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