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d라이브러리
"
전문
"(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별빛이 쏟아지는 몽골의 밤하늘에서 달의 크레이터를 감상할 수 있었다. 서호주 및 과학
전문
탐험가인 문경수 씨 역시 세계의 천문학자 및 고생물학자와 교류하는 과학 애호가다. 역시 고비사막의 황량한 아름다움에 매혹돼 2년째 발굴에 참여했다.어쩌면 이들보다도 더한 애호가는 이융남 관장과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알고리듬이 꾸준히 발표됐다. 최초 군집 알고리듬의 세 가지 규칙미국의 컴퓨터그래픽
전문
가 크레이그 레이놀즈가 1987년 세계 최초로 구현한 군집 알고리듬의 세 가지 규칙. 군집 이론의 기본 조건으로 자리잡았다.하지만 군집 알고리듬을 군집로봇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었다. 로봇의 ‘운동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생각합니다. 이매지너리는 처음 만들어졌을 때보다 지금 훨씬 더 많은 분야의
전문
가들이 참여해서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려면 어렸을 때부터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경청하는 연습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예를 들어 같은 반 친구들도 개성이 서로 다르잖아요. 사람은 ... ...
고양이 VS 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잘 적응하도록 훈련받았어요. 살아 있는 먹잇감을 사냥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지요.
전문
가들은 삵에게 위치 추적기를 달아 야생에서 잘 적응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있어요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어려운 구조이지요. 따라서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불에 강한 철판을 씌웠을 거라고
전문
가들은 추측하고 있답니다.둘째, 철판을 덮어도 부력과 복원력에 문제 없다.일본 교토대학교 사쿠라이 타케오 교수는 역사 속 거북선의 활약에 푹 빠져서 직접 거북선 모형을 만들고 실험을 해 봤어요. ... ...
DNA로 그린 몽타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의 마크 슈라이버 박사와 벨기에 루뱅가톨릭대학교의 이미지
전문
가인 피터 클라우스는 입술의 모양과 색을 결정하는 유전자, 눈 주위의 뼈를 구성하는 유전자, 두개골의 생김새를 결정하는 유전자처럼 사람의 머리와 얼굴 생김새에 중요한 정보를 갖고 있는 DNA 20가지를 ... ...
긴급! 변비 환자 둘 중 하나는 어린이거나 노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많이 마시면 오히려 제가 팥죽처럼 묽어질 수 있어요. 또 운동을 꾸준히 해 보세요.
전문
의들은 특히 대장 활동을 활발하게 만드는 걷기운동을 추천한답니다. 사과나 바나나, 양배추처럼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는 것도 좋아요. 섬유질은 사람 몸속에 흡수되지 않고 모두 바깥으로 배출되기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서울대학교 초대 총장이었던 거리의 수학자 ‘최규동’, 최초의 한국 수학사
전문
가인 ‘장기원’, 또 최초의 여성 수학박사인 ‘홍임식’ 등은 한국 수학계의 기틀을 마련했다.이런 수학자들의 헌신과 열정 덕분일까? 1981년 한국은 전세계의 수학자들이 설립한 국제수학연맹(IMU)에 가입하게 된다.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해서 혼자 연구를 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러면 시간이 훨씬 많이 걸려요. 그리고
전문
가와 함께 연구하면서 알게 되는 것과 배움의 양이 다르거든요. 수학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공동연구가 훨씬 효과적이에요.”랭글란즈 프로그램은 지난 2010년 인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을 수상한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누구보다 빨리 취업을 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전산학을 더 공부했어요. 저는
전문
분야 이론과 ‘수학으로 생각하는 힘’이 더해져 지금 이 자리에 올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정보 보안 설계에 수학은 필수거든요.저 역시 학창시절에는 ‘수학의 쓰임새’에 대해 정말 궁금했어요. 그런데 사회에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