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로봇이 사람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연구자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로봇만 노력한다고 로봇과 사람이 깊은 교감을 할 수 있을까요? 로봇과 ... 살 거예요. 우리들은 어떤 자세로 로봇을 받아들여야 할까요? 함께 고민해보길 바라며...
이상
정한길 기자였습니다 ... ...
왜 거짓말은 진실보다 빨리 퍼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어떻게 퍼졌는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가짜 뉴스를 공유한 횟수는 진짜 뉴스보다 약 70%
이상
높게 나타났어요. 가짜 뉴스가 진짜 뉴스보다 훨씬 멀리, 빠르게 퍼진 거예요. 그렇다면 왜 가짜 뉴스가 더 빨리 퍼졌을까요? 연구를 이끈 데브 로이 교수는 “가짜 뉴스가 새롭고 자극적인 정보를 더 많이 ... ...
아폴로 7호, 우주에서 감기에 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도중 감기에 걸렸다. 커맨더였던 월터 시라는 지상의 관제팀과 설전을 벌인 끝에 “더
이상
임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선언하고 지구로 돌아왔다. 이후 우주비행사가 병에 걸릴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우주선 탑승을 제한하는 지침이 마련됐다. 아폴로 8호부터는 우주비행사뿐 아니라 1000명이 ... ...
아폴로 10호, 혹시 몰라서 연료 덜 싣고 출발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없는 아폴로 10호의 달 착륙선 중량은 1만3941kg으로 1만5095kg인 아폴로 11호보다 1000kg
이상
가벼웠다. ▲지질학자가 아폴로 10호 우주비행사들에게 달의 지형을 설명하고 있다(위). 스누피 인형을 들고 우주비행사들을 응원하는 소녀. 아폴로 10호 사령선과 달 착륙선의 이름은 각각 ‘찰리 브라운’과 ... ...
신비┃인간을 왜 '별의 먼지'라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것이다. 그 확률은 1억 년에 1번 정도로 여전히 낮지만 우주 역사를 통틀어 보면 100번
이상
기회가 있었다. 과학자들은 실험실에서 우주 환경을 재현해 빙결된 성간물질에서 유기분자가 만들어질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 한 예로 강헌 서울대 화학부 교수팀은 극저온 초진공 장치로 영하 260도~영하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평면설과 관련된 영상을 본 사람들은 9·11 테러나 달 착륙과 관련된 음모론 영상도 한 편
이상
시청했다는 것이다. 유튜브가 관련 영상을 추천해준 덕분이다. 음모론을 가려내고 진실을 판단하는 지적 능력이 더욱 중요해진 사회다 ... ...
질서┃은하단과 은하군, 은하수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중심부에는 대부분 거대 은하가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 거대 은하는 수조 개
이상
의 항성을 거느리며 밝은 빛을 낸다. 대표적으로 처녀자리 은하단의 중심부에 위치한 타원은하 M87은 지름 12만 광년에 약 1조 개의 항성을 갖고 있다. 참고로 우리은하는 지름 10만 광년에 3000억 개 내외의 항성을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수준이었죠. 하지만 자율주행차나 로봇, 드론 같은 기계가 자율적으로 움직이려면 50개
이상
의 변수를 가진 수식을 풀어야 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았습니다.아흐마디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해 비로소 힐베르트의 17번 문제를 자율주행차와 로봇, 드론 등 첨단 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길을 ... ...
거짓말에 속지 않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실수를 ‘아티팩트’라고 불러요. 얼굴을 만드는 적대적 생성망이 배경이나 머리카락을
이상
하게 그리는 것도 아티팩트에 속하죠.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의 남건희 연구원은 “적대적 생성망의 종류에 따라 다른 아티팩트를 만든다”며, “이 아티팩트를 수집하여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면 조작된 ... ...
피플┃천문우주학도는 왜 우주 스타트업을 차렸나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위성을 개발 중이다. 두 위성 모두 2021년경 첫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지금까지 100기
이상
의 초소형 위성을 띄워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판매까지 연결시킨 플래닛 랩스처럼 초소형 위성 개발뿐만 아니라 설계부터 영상 서비스까지 초소형 위성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게 박 대표의 목표다. 위성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