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의 태양계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지구와 같은 행성이 더 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하고 있다. 하버드 스미소니안 천체
물리학
센터의 피터 니젠슨은 “지구형 행성의 경우 질량이 너무 작아 현재의 관측장비가 검출하기 힘들기 때문에 지구 크기의 행성이 이 행성계 안에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18개의 ... ...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탄생한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그 덕에 에니악은 최초의 컴퓨터라는 지위를 누렸다.2차대전이 끝나자 튜링은 국립
물리학
연구소와 더불어 자동계산기를 연구했다. 그러나 동성연애자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곤경에 처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매우 역사적인 논문을 썼다. 1950년에 발표한 ‘컴퓨터와 지능’이란 논문이다. 이것은 ...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정말 짧은 이 시간 동안을 기술할
물리학
을 우리는 아직 소유하지 못했다. 영국의 천체
물리학
자 스티븐 호킹도 여생을 이 연구에 바치겠노라고 말한 바 있다. 플랑크 시간은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짧은 시간이다.우주가 탄생한 후 플랑크 시간이 지나자마자 제일 먼저 중력이 독립해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밴 앨런은 존스홉킨스대학 응용물리연구소 고층대기 연구책임자를 거쳐, 아이오와대학
물리학
교수가 됐다. 그 무렵 인공위성을 쏘아올릴 로켓을 만들던 독일 출신의 폰 브라운(1912-1977)과 가까워졌다. 지구 밖으로 로켓을 발사하려는 공학자와 지구 밖 대기를 연구하려는 과학자의 이해가 ... ...
① 빅뱅우주론에서 인플레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모두 똑같을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1980년 MIT 출신의 천체
물리학
자 앨런 구스(1947-)는 인플레이션 가설을 세웠다. 인플레이션 가설에 따르면 빅뱅 이후 1초 이내에 우주가 ‘10억배의 10억배의 10억배의 10억배’ 이상 커졌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 가설은 등방성의 문제를 ... ...
배타적인 것은 서로 보완적이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아닌 파동이라고 생각하고 방정식을 만들었다. 이 공로로 1933년 디랙과 더불어 노벨
물리학
상을 받게 된다. 그런데 양자론의 입장에서 세운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과 파동론에 기초한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 중 어느 것이 옳은 것일까. 학자들은 난처해졌다.1927년 하이젠베르크는 새로운 사실을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일찍부터 섭렵해왔던 서양과학지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최한기는 서양의 근대적인
물리학
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이해하고 다시 소개한 사람으로 과학사에서 주목을 끈다. 그는 초기 저작에서부터 빛, 소리, 온도, 습도에 대한 서양의 근대과학지식을 소개하고, 이것을 자신의 기철학을 세우는 ... ...
④ 과학교육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선생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시었다. 우리는 수학,
물리학
을 비롯한 기초과학부문을 빨리 발전시켜야 합니다.”자연과학을 배우도록 격려하는 지도자들의 위대성을 드러낸 부분이다. 또한 교과서 내용 중 군사 관련 내용이 등장하는 것이 우리 눈에 생소하다. 다음은 ... ...
대륙이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일을 맡기도 했다. 전쟁이 끝나자 오스트리아 그란츠대학에 자리를 잡고 기상학과 지구
물리학
등을 가르쳤다. 그리고 1930년 50세의 나이로 그린란드 탐험에 나섰다가 다시 돌아오지 못했다 ... ...
2천년만에 깨진 원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발견한 애플턴(1947년 노벨
물리학
상), 양성자 가속기를 만든 코크로프트와 월턴(1951년 노벨
물리학
상) 등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렵다. 이 당시 캐번디시연구소를 거치면 노벨상은 거의 떼논 당상이었다.캐번디시연구소 출신으로 생리의학 부문 노벨상을 받은 사람들도 있다. 대표적인 사람이 DNA의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