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35억 년 전 달에 두꺼운 대기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지속하는 데 필요한 연료와 공기의 원천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지구 및 행성과학 레터스’ 9월 2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16/j.epsl.2017.09.00 ... ...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세계적인 권위자로 꼽히는 류자치(劉嘉麒) 중국과학원 원사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국제
학술회의에서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번 핵실험의 여파로 백두산 인근에서는 자연지진이 세 차례 발생했다(10월 18일 기준). 백두산 지하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지 추적해봤다. ▼관련기사를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전자전하의 최종 값은 현재까지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내년
국제
도량형총회에서 최종 결정한다. 물질량의 단위도 바뀐다. 아보가드로 상수를 6.02214X×1023mol-1으로 고정해 물질량을 정의한다. 켈빈은 지금까지 물의 삼중점 온도를 273.16K으로 고정해 사용해왔으나, 앞으로는 ... ...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8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석면은 단열재 등 건축자재로 쓰였지만
국제
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면서 2009년부터 국내에서 제조와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문제는 그 전에 사용된 석면을 폐기할 때 다량의 석면이 공기나 토양으로 배출돼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기저핵의 운동신경이 흥분할 경우 파킨슨병이 발병한다는 내용을 밝혀 신경과학분야
국제
학술지 ‘뉴런’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기저핵 신경을 빛으로 자극해 파킨슨병 환자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기저핵 주변 신경들은 기존 학설대로 억제되는 것처럼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찾았다. 영국 워릭대 연구팀은 특정 아미노산이 포만감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분자 대사학’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인식해 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라는 뇌세포에집중했다. 연구 결과 이 세포가 당뿐만 아니라 아미노산도 인식할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음색 변화가 아기의 학습을 어떻게 돕는지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0월 12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16/j.cub.2017.08.07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 하우메아는 해왕성 너머에서 2003년 처음 발견된 천체로,
국제
천문연맹(IAU)은 2008년 이를 왜행성으로 분류했다. 왜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천체 모양을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유지하는 중력을 가지면서도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닌 천체를 말한다. 행성과의 차이점은 공전 ... ...
[과학뉴스] 종이접기로 만든 로봇 팔 트위스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종이접기 방식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로봇 팔이 개발됐다. 이기주 미국 케이스 웨스턴리저브대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이 만든 ‘트 ...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전기전자공학회(IEEE)와 일본 로봇공학회(RSJ)가 공동 주최한 ‘
국제
지능로봇시스템 콘퍼런스’에서 9월 27일 발표됐다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분화를 일으킨다는 근거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아이슬란드 크라플라 화산에서
국제
공동 마그마 시추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에이셀버거 교수는 미국의 1971년 알래스카 핵실험을 예로 들었다. 규모 7.0의 인공지진을 일으킬 정도로 큰 핵실험이었지만 인근 해저에 있는 화산 중 어느 것도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