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련"(으)로 총 9,93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났던 산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에서 긴급하게 취재해 봤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Part 4. 산불 이후 숲은 어떻게 될까 ... ...
- Part 4. 산불 이후 숲은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토양이 완전히 회복하기 위해서는 100년 이상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Part 4. 산불 이후 숲은 어떻게 될까 ... ...
- Intro. 소라게, 내집 마련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생활하는 갑각류를 가리켜 ‘소라게’라 부른다. 하지만 정식 명칭은 ‘집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라게, 내집 마련 프로젝트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Part 2. 소라게야, 새집 줄게~♬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 ...
- Part 2. 소라게야, 새집 줄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갖는 회사라는 홍보 효과도 톡톡히 누릴 수 있었답니다. 그야말로 일석이조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라게, 내집 마련 프로젝트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Part 2. 소라게야, 새집 줄게~♬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른 만큼 정확한 세기를 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숙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두엽과 측두엽의 피질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얇았습니다. 이 부위는 감정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합니다(doi:10.1016/j.concog.2015.04.020). 일각에서는 귀 벌레 현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당 곡의 가사를 글로 쓰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합니다. 주의를 돌린다는 점에서는 일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영화를 초월한 기술이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그날을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무기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인간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드는 일은 이 글을 읽는 바로 여러분들에 달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무기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존재가 확인됐다. 그러나 반쪽 짜리 결과였다. 킬로노바의 광학 현상과 감마선 폭발의 관련성만 봤을 뿐, 이론이 제안한 것처럼 실제 중성자별 쌍성에 의한 것이라는 직접적인 증거를 확인하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같은 우주에서 중력파, 감마선 포착8월 17일 오후 9시 41분 4초(한국시간),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우주론)을 세우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 중요성을 입증하듯, 우주배경복사와 관련한 연구에는 노벨상이 이미 두 차례 수여됐다. 1965년 우주배경복사를 처음 발견한 미국 벨연구소의 아노 펜지어스, 로버트 윌슨 박사가 1978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또 1989년 발사된 NASA의 ‘코비(COBE)’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