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모습"(으)로 총 2,6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 ‘늦깎이 신입생’ UAE는 왜 화성을 겨냥했나(중)동아사이언스 l2019.06.20
- 오른쪽)와 만수르 부총리가 칼리파샛(아랍에미리트 최초의 국산 인공위성) 앞에 서 있는 모습이다. MBR우주센터 하지만 우주인을 ISS에 보낸다고 해서 ‘우주 산업의 리더’가 되지는 않는다. UAE는 훨씬 더 야심 차고 대담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2021년까지 화성에 무인 탐사선을 보낸다는 목표다. 202 ... ...
- 얼음거품 속 휘날리는 눈꽃,'와인의 눈물'과 같은 효과동아사이언스 l2019.06.19
- 추운 날 비누 거품을 얼음 위에 올려놓으면 눈꽃 입자가 거품 속에서 흩날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조나단 보레이코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팀은 ... 아흐마디, 크리스티안 킹젯) 제공 상온에서 얼음 위에 올려놓은 비누 거품은 일부만 어는 모습을 보인다. 파자드 아흐마디, 크리스티안 킹젯 ... ...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룩셈부르크는 왜 우주광물 회사에 투자했나(상) 동아사이언스 l2019.06.18
- 래리 페이지가 공동 창업한 미국 우주광산 회사 ‘플래니터리 리소시스’ 의 연구현장 모습 (동영상이 안보인다면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9391 ...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2019.06.17
- 계기는 무엇인가 국제당뇨병연맹(IDF) 대표단이 북한 평양 류경안과병원을 방문한 모습. 서 있는 남성들 중 가장 오른쪽부터 조남한 IDF 회장, 이문규 2019 부산 IDF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김신곤 고대안암병원 교수, 리눙지 IDF WPR 회장이다. 김신곤 교수 제공 북미 대회가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시니호가 마지막으로 보내온 토성 고리 모습들 동아사이언스 l2019.06.16
- 파도를 치는 듯 움직이며 바깥으로 이동했다. 또 ‘프로펠러’라 불리는 구조의 모습도 자세히 포착됐다. 프로펠러는 위에서 봤을 때 소용돌이가 고리 한가운데 나타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지름 100m짜리의 아주 작은 천체가 고리 가운데에서 고리 구성물질을 헤집고 다니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 희망 '비타민B6'동아사이언스 l2019.06.15
- 엘튼 제키라 분자및세포생물학부 교수 연구팀은 자가면역질환에 관여하는 SHMT2-BRISC의 모습을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해 그 역할을 파악하고 비타민 B6가 이 단백질의 활성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지난달 29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단백질과 단백질이 연결된 단백질 복합체를 시각화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슈퍼우먼, 결국 입을 다물다2019.06.15
- 추구하는 과정에서 자아가 분리된 듯한 모습을 보였다. 자신을 지나치게 희생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미 한계까지 힘든 상태임에도 계속해서 더 많은 일을 맡거나 심지어 다른 사람들의 일까지 대신하려는 등 분명 본인도 돌봄이 필요한 사람임에도 타인을 우선적으로 돌보는 경향을 보였다. ... ...
- 印, 달에 부드럽게 착륙한 네 번째 나라를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2019.06.13
- 7월 15일 달에 탐사선을 보내겠다고 계획을 공식화했다. 사진은 달에 착륙할 달 탐사선의 모습이다. 인도언론정보국 제공 인도가 7월 15일 달에 보낼 착륙선과 로버를 실은 찬드라얀 2호를 발사하겠다고 밝혔다. 세계 네 번째로 달 표면에 부드럽게 내려앉아 우주 기술의 선두주자 지위를 공고히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2019.06.13
- 도량형의 제정이었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미터법이다. 미터법이 정립되고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바스티유 감옥이 털린 이듬해인 1790년 프랑스 국민회의는 반주기(半週期)가 1초인 진자의 길이를 길이의 기본단위로 정했다. 천정에 줄을 고정시키고 줄의 다른 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오른쪽)는 둘 다 입술과 손은 엄청나게 큰 반면 몸통과 팔다리는 왜소한 기형적인 모습이다. 이는 뇌가 처리하는 정보량을 보여주는 것으로 엄밀한 뇌과학 연구의 결과다. 런던자연사박물관 제공 20여 년 동안 논문 1400편 넘게 나와 검지(두 번째 손가락) 길이(2D)와 약지(네 번째 손가락) 길이(4D)의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