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517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 360종 유전체 서열 규명...대규모 분류로 진화 단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유전체에 존재하는 모든 DNA 염기서열로 생물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다. 버나드 킴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100종이 넘는 초파리 유전체를 서열화해 총 300종이 넘는 초파리의 진화적 계통을 분류하고 연구결과를 18일 국제학술지 ‘플로스(PLOS) 바이올로지’에 공개했다. ... ...
'IT대란' 국내 피해 기업 10곳…블루스크린 조치 방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MS)사의 윈도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으며 블루스크린이 뜨는 사태가 발생했다.
미국
사이버 보안업체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 Strike)가 배포한 보안 소프트웨어 최신 업데이트가 MS 윈도와 충돌하며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MS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 발생과 관련,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 먼지'인 동시에 하나의 '우주'
2024.07.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은 다 하나하나가 고유한 존재이지만 알고 보면 아무도 '특별'하지는 않다는 사실, 누가 더 잘났고 못났다는 둥 지금은 모 ...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통증 관리에 의학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덧붙였다.규제 완화가 실제로 이뤄지면
미국
에서 마리화나는 진통제나 기침 억제제로 사용되는 코데인, 수술 전후의 마취제로 사용되는 케타민 등과 같은 통제 물질로 취급된다.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에 있는 스마트팜에서 의료용 헴프를 ... ...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착용해도 재채기 소리 들리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20
생겨요. 이 문제를 해결해 주는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습니다. 지난 5월 시암 골라코타
미국
워싱턴대 교수팀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듣고 싶은 사람의 목소리만 골라 들을 수 있는 ‘표적 음성 청취’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AI가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마이크로 수집한 주변 ... ...
영국, 유럽 최초 사료용 '배양육'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수 있다. 싱가포르는 2020년 세계 최초로 닭고기 배양육을 생산하고 판매하도록 승인했다.
미국
도 2022년부터 닭고기 배양육 판매를 허가했다. 배양육은 축산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동물성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식품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 ...
유상임 과기부 장관 후보자 "R&D예산 소통 부족…필요한 예산 반영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가질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R&D 시스템 혁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유 후보자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98년부터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한 소재 분야 연구자이자 초전도체 전문가다. 그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에 ... ...
AI가 기록 판독하고 탄소배출 감시...파리올림픽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7월 하순 파리의 평균 기온은 40도를 넘나든다. 무더위를 극복하기 위해
미국
선수들은
미국
스탠퍼드대가 개발한 첨단 냉각 장비인 '쿨밋'을 활용한다. 손에 장갑처럼 착용하는 장치인 쿨밋은 선수 몸에서 혈액을 식히고 신체에서 열을 빼낸 뒤 혈액이 심장과 근육으로 순환하도록 만든다. ... ...
"비현실적 간접비로 美 연구기관과 협업 어려워"…보스턴코리아 프로젝트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부속병원인 메사추세츠 종합병원, 브리검 여성병원 및 존스홉킨스대, 메이요클리닉 등
미국
대표적인 대학과 병원에서 지원을 하기로 협의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른 대학과도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간접비 때문에 참여하지 못하는 연구자가 한 분도 없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 ... ...
"한국, 재사용발사체 개발 경쟁력 있어…충분한 실패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이창훈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오지혜 한국일보 기자가 참가했다. 김 교수는 현재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이끌고 있는 재사용발사체 분야에서 중국이 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다면서 한국도 재사용 발사체 기술 확보에 빠르게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발사체 기업 '스페이스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