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뉴스
"
물질
"(으)로 총 9,354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 사이 '떠돌이별' 기원 종지부..."암흑
물질
추적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지명국(왼쪽)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와 주형진 제1저자. 연세대 제공 은하단내광은 수백 개의 은하가 모여 있는 은하단에서 은하와 은하 사이의 ... 이용해 암흑
물질
의 존재를 입증하는 증거를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암흑
물질
연구 사상 가장 확실한 증거로 평가됐다 ... ...
건강한 삶 위협하는 '빛공해' 영향 연구 본격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건강과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앞서 2007년 세계보건기구(WHO)가 빛 공해를 발암
물질
로 규정한 바 있다. 4일(현지시간) BBC는 영국 랜캐스터대에 빛공해연구소가 설립됐다고 전했다. 연구소를 이끄는 닉 던 교수는 “어두운 하늘을 보호하는 것이 사람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며 “빛 뿐 ... ...
주변 환경 따라 성장방향 바꾸는 인공
물질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말단 성장을 통해 성장하는 식물의 화분관, 세포의 성장을 모사하는
물질
시스템.
물질
시스템을 성장하는 전선으로 활용해 회로를 완성했을 때 전구에 불이 켜지는 모습 ... ...
여러 약물 복용시 부작용 예측 '美 FDA 수식' 정확도 '두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발행하고 있다. 1997년 처음 발행됐고 2020년 1월 개정됐다. 신약을 개발할 때 신약 후보
물질
과 시판된 모든 약물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기는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지침서는 제시한 수식을 활용해 약물 상호작용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김 CI팀은 FDA의 약물 상호작용 평가 수식에서 ... ...
영국, 새로운 우주탐사용 태양전지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우주용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위키미디어 제공 영국이 우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태양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대규 ... “기존 태양전지가 지구 밖 대기환경에서 열화되는 원인을 알아내면 새롭고 더 나은
물질
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장기 수혜자의 몸에서 외부로부터 온 장기에 대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세포가 분비하는
물질
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거부반응을 막는 역할을 한다. 면역억제제가 이식수술 성패에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의학자들은 더 좋은 약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 ...
첨단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에 5594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효율화를 위해 총 571억원을 지원한다.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을 위해 유효
물질
도출부터 임상 2상까지 신약개발 전주기를 지원하는 범부처 합동 국가신약개발사업에 총 370억원을 투자한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의 공백영역인 신규 타깃발굴과 검증을 지원하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 ...
[과기원은 지금] 김지연 UNIST 석박과정생, 2022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지연 화학과 석박과정생이 ‘2022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 ... 청년 우수 인재에 수여하는 상이다. 김 석박과정생은 최원영 UNIST 교수팀에서 금속 유기
물질
이라는 다공성 소재 개발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았다 ... ...
인간의 영향은 어디서부터였을까…'인류세' 세부기준 '초읽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골든 스파이크' 후보 9곳 중 한 곳을 선정한다. 골든 스파이크는 지구 환경의 변화, 기준
물질
등 해당 시대를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를 말한다. 호주의 산호초, 캐나다 토사층, 남극 대륙의 빙핵 등이 후보로 꼽혔다. AWG의 투표 결과에 따라 선정된 지역에는 인류세의 시작을 기념하는 명판이 ... ...
적게 먹어도 살찌는 이유...새로운 유전자·미생물 속속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설탕이 많은 음식을 과식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신경전달
물질
인 세로토닌과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비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다. 양 허 미국 베일러의대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지난달 1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메디신'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