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0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 공격력 4배 향상된
나노
입자-NK세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나노
입자-NK세포를 넣은 결과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능력이 4배나 더 향상됐다. 또한
나노
입자에는 자성을 띠는 아연-철 산화물과 근적외선에 활성화하는 형광 분자가 들어 있어 기존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체내에서 NK세포가 어디에 있고 어디로 움직이는지 추적 가능했다. 연구를 이끈 ... ...
소품만 놓인 무대에 태블릿 비췄더니 ‘AR 뮤지컬’이 활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연구가 결합한 것이다. 연구팀은 금속처럼 전기가 잘 흐르고 표면 기능을 제어하는
나노
신물질인 ‘맥신’과 전기가 잘 통하는 고분자 물질을 결합해 부드럽고 잘 휘는 전극을 제작했다. 전극은 1볼트(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1초 만에 반응을 하며 문어 다리처럼 180도 구부러진다. 연구팀은 이 ... ...
고통 느끼는 로봇 나오나…'인공피부'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먼저 산화아연을 재료로 매우 작고 긴 구조물인
나노
와이어를 만들었다.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는 압력을 느끼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특성이 있다. 누르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동력 압력 센서로 쓸 수 있다는 뜻이다. 여기에 서로 다른 금속을 이어 붙인 전기회로를 덧붙였다. 외부에서 이 ... ...
나비처럼 우아한 날갯짓 가능한 인공근육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있는 인공근육을 만들었다. 맥신은 탄소 및 질소 화합물이 얇은 면 형태의 구조를 갖는
나노
신소재다. 연구팀은 맥신을 전기가 통하는 고분자와 결합시켜 부드럽고 잘 휘는 전극을 제작했다. 그 결과 건전지 1개보다 낮은 1볼트(V) 이하의 낮은 전압만으로 문어 다리처럼 180도 구부러지는 고성능 ... ...
균일한 촉감 자랑하는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스티브박 KAIST 교수와 오진원 연구원. KAIST 제공 인공피부를 만들 때 가장 큰 걸림돌은 피부에 설치한 촉각 센서가 똑같은 압력을 때에 따라 다르게 측 ... 물론 헬스케어 장비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나노
기술 분야 국제학술지 ‘스몰’ 16일자에 발표됐다 ... ...
스펀지 구조
나노
소재로 열을 전기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열을 가했을 때 소재 내의 온도가 한꺼번에 다 오르지 않아 내부 온도 차이가 기존 탄소
나노
튜브 소재에 비해 2배 이상 높아졌다. 열전 효율도 높아졌다. 구멍 덕분에 스펀지처럼 내구성도 높아서, 1만 번 이상 굽혔다 펴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했다. 조 책임연구원은 “무겁고 딱딱한 무기재료 기반 ... ...
'강강수월래하듯 결합' 탄소 원자만으로 만든 가장 작은 고리 분자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이루며 서로 결합한 다이아몬드의 경우 하나의 탄소가 세 개의 탄소와 결합해 있다. 탄소
나노
튜브나 그래핀 등은 6개의 탄소가 육각형을 이룬 구조가 반복되는데, 탄소 하나가 두 개의 이웃 탄소와 결합해 있다. 하지만 마치 손에 손을 맞잡듯 탄소 하나가 다른 하나와 맞결합한 형태는 좀처럼 만들기 ... ...
"日의 소재 공격 맞서 中企에 기술이전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ETRI)과 국내기업 ‘브이에스아이’가 앞서 개발, 상용화한 사례가 있지만, 탄소
나노
튜브를 박막 형태로 가공해 세우고 그래핀을 전극으로 쓴 방식은 이 교수가 유일하다. 국내 기업들과 여러 형태로 시제품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시판 중인 X선 장비로 촬영한 영상에 견줄 만한 영상을 얻는 데 ... ...
21년의 집념이 낳았다… X선 장비 美·日서 ‘기술 독립’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ETRI)과 국내기업 브이에스아이(VSI)가 앞서 개발한 바 있다. 이 교수는 탄소
나노
튜브를 독창적인 방법으로 가하고 그래핀 전극을 추가해 다른 방식으로 구현했다. 현재 이 기술은 국내외에 13건의 특허를 등록 또는 출원했으며, 관심을 갖는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이전을 논의 중이다. 이 ... ...
소형 웨어러블 기기 만들 세밀한 전극 3D프린팅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5
배치해 금속 복합체를 만들었다. 신축성이 좋은 금속에 구조를 탄탄하게 해주는 탄소
나노
튜브를 결합해 3차원 구조를 유지하는 전극 배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단단한 표면뿐만 아니라 피부처럼 변형이 쉽고 유연한 표면에도 적용 가능하다. 연구진은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3D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