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생
출산
낳음
산출
생산
기원
시작
d라이브러리
"
탄생
"(으)로 총 3,905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 물고기 '캐스퍼'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두 종을 교배한 결과 노란색 피부색소만 지녀 몸 속이 들여다보이는 투명 제브라피시가
탄생
했다. 이 제브라피시에는 유명한 애니메이션 유령 캐릭터 ‘캐스퍼’의 이름을 붙였다.화이트 박사는 형광 처리한 피부암 세포를 ‘캐스퍼’의 배 부분에 집어넣고 5일 동안 암세포가 퍼져가는 과정을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적합한 것 같아 이 세균이 속하는 원계를 ‘고(古)세균’이라고 명명했다.”지난해
탄생
300주년이었던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린네는 ‘현대분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종속과목강문계’라는 분류체계를 고안했을 뿐 아니라 속명 종명으로 학명을 정하는 ‘이명법’(binominal nomenclature)도 ... ...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100년 전 최초의 합성플라스틱인 베이클라이트가
탄생
하면서 인류에게는 또 하나의 별명이 붙었다. 일명 ‘호모플라스티쿠스’(Homo plasticus)로 플라스틱에 둘러싸여 끊임없이 플라스틱을 소비하며 사는 인간을 뜻한다. 지난 2005년을 기준으로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억 3000만 톤을 돌파했고 오는 ... ...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곤충의 애벌레나 성충에 들어간다. 그 뒤 곤충을 죽이고 양분을 얻어 이듬해 동충하초가
탄생
한다.동충하초류의 버섯은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성물질(코디세핀)이 함유돼 있고 남성호르몬을 증가시켜 성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농촌진흥청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이렇게 선별된 분자가 최종적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통과하면 신약으로
탄생
한다.한편 간질이나 정신분열증, 운동장애 등 다양한 신경계 관련 증상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이 좀 더 명확히 밝혀짐에 따라 이를 토대로 한 신약개발도 뒤따를 전망이다 ... ...
세계 최초 줄기세포 복제돼지
탄생
!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축산위생연구소분들께 감사를 전하고 싶네요.그럼 이제, 어떤 과정을 통해 복제돼지로
탄생
했는지 설명을 좀 해 주세요.말하자면 좀 긴데…. 잘 들으세요. 우선 연구팀은 장기의 크기가 성인과 비슷한 암컷 미니돼지에서 줄기세포를 뽑아 냈어요. 이걸 핵을 제거한 일반 돼지의 난자에 넣고 ... ...
"경제와 삶의 질 원천은 기초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받는 연구성과가 나오고 원천기술을 개발해 퀄컴이나 도요타 같은 세계적 기업이
탄생
하길 바란다”며 기초기술에 대한 애정을 끝까지 숨기지 않았다 ... ...
우리은하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게일 스미스가 처음 발견했다. 천문학자들은 스미스구름이 우리은하나 이웃 은하가
탄생
할 때 떨어져 나왔으며 태양 같은 별 수백만 개를 만들 수 있을 만큼의 수소를 갖고 있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그동안 이 구름의 정확한 크기나 이동방향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록맨 박사는 미국 서버지니아에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보여준다.태양은 46억 년 전 거대한 수소분자구름이 중력 수축하며 뭉칠 때 중심에서
탄생
했다. 태양은 핵에서 수소를 태워 헬륨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생애를 시작했고 곧이어 지구를 비롯한 행성도 형성됐다.천문학자들의 계산에 따르면, 태양은 약 100억 년간 수소를 태우며 빛나는 주계열성으로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그는 합성한 최소유전체를 이용해 몇 주안에 합성세포를 만들겠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탄생
할 새로운 종의 세포는 ‘실험실에서 만든 마이코플라스마’라는 뜻의 ‘마이코플라스마 라보라토리움’(Mycoplasma laboratorium)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합성세포 기술로 지구온난화 막을 터벤터 박사는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