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으)로 총 4,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마리 토끼를 다 잡는 동아리!동아리 활동은 고등학교 생활의 꽃과 같아요.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학구적인 토론을 하고, 정기적으로 봉사를 다니면서 학생들이 느끼는 보람과 자부심이 무척 크답니다. 또한 체험전의 경우는 공모 지원부터 부스 운영까지 친구들과 머리를 맞대고 진행하기 때문에, ...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도·감청도 공공연하게 이뤄졌다. 2009년에는 인기 연예인인 전지현 씨의 휴대전화가 복제돼 파문이 일었다. 또 올해 11월 7일에는 90만 원을 받고 스마트폰을 도·감청해주겠다고 영업을 해온 최모씨가 법원으로부터 1년 6월의 실형을 선고 받았다. 진보네트워크 장여경 활동가는 “스마트폰 앱 ... ...
- [과학뉴스] 명예퇴직한 아버지가 유난히 늙어 보이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염색체의 끝부분에 달려있는 염기 서열로 유전정보를 가진것은 아니지만 DNA가 복제 될 때 염색체 끝이 바깥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DNA가 소실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세포분열이 지속될수록 텔로 미어는 점점 짧아지고, 텔로미어가 일정 길이보다 짧아지면 세포는 노화되었다고 판단하고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수정할 때도 수학이 활용된다. 사진에 찍힌 얼굴에 난 잡티를 제거할 때, 잡티 주위 피부색의 평균을 계산해서 그에 맞게 잡티색을 수정해 주는 것이다. 또, 자르기 기능을 사용할 때는 그래프 이론이라는 수학이 쓰인다. 그밖에도 의료영상등에 수학이 활용된다는 것을 듣고,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종말이란 게 의미 없는 소리일 것이다. 안드레이 린데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제창한 ‘영원한 인플레이션’ 이론은 인플레이션(우주 초기의 급격한 팽창)이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곳곳에서 계속 일어난다는 이론이다. 그 결과 우주가 주렁주렁 매달린 포도송이가 생겨난다.어디선가는 종말을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돌연변이가 늘고, 돌연변이에 따른 인류의 다양성도 늘어났습니다. 다양성은 진화의 전제 조건입니다. 다양성이 높은 집단에서 진화는 활발해집니다. 결국 인류의 진화는 점점 빨라졌습니다.인류 집단 사이의 교류도 진화를 촉진했습니다. 원래 인류는 초기부터 끊임없이 여러 지역과 유전자를 ... ...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건설은 거친 남자들만의 세계라는 편견이 있었고 실제 건설환경공학부 신입생의 대부분은 남자였다. 하지만 지금은 학부의 경우 신입생 5명 중 1명이 여학생이고 대학원은 4명 중 1명이 여학생이다.“현장소장처럼 강한 리더십과 카리스마가 필요한 자리도 있지만, ... ...
- 밀가루는 무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없는 한 굳이 글루텐, 그리고 밀가루를 피할 이유가 없습니다. 사실 국수 마니아로서 제가 가장 걱정하는 건 밀가루가 아니라 나트륨입니다. 면과 국물에 나트륨이 꽤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지요. 나트륨 섭취에는 조심을 하겠지만, 앞으로도 전 면식수행에 힘쓸 생각입니다. 밀가루를 사랑하는 모든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적응할 수 있었던 건 다양하게 진화한 입 덕분이다. 단순한 구멍에서 시작한 입은 이제 사람이 문명을 유지하는 데도 빼놓을 수 없는 기관이 됐다.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라는 구절만큼 입에 걸맞은 말도 없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딴짓하는 입INTRO. ... ...
- 태양전지, 레고처럼 만드니 효율이 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제각각이라는 사실에 주목했다. 빛이 전지판에 직각으로 부딪히는 것이 가장 좋지만 실제 빛이 이상적인 각도로 들어오긴 어렵다. 그렇다면 최대한 많은 빛을 흡수하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연구팀은 전지 판 위에 지름 100nm 짜리 알루미늄 원기둥을 100nm 간격으로 세워 붙였다. 크기가 작을 뿐 레고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