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오늘 내 저녁식사가 돼 줘야겠어! 으흐흐흐흐~!심장 뛰면 피가 온몸으로 쭉쭉피는 몸
전체
를 돌고 있어. 피가 몸 구석구석을 흐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심장 덕분이야. 강한 근육으로 이루어진 심장은 1분에 60~70번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거든. 이렇게 심장이 펌프질을 하면서 1분에 5L나 되는 피를 ...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단백질을 바꾸어 세포와 혈관에서 독성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유
전체
구조가 사람과 비슷한 물고기인 제브라피쉬에 트랜스지방을 20주 동안 먹여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어요. 그 결과 트랜스지방을 먹은 제브라피쉬는 피부세포가 노화하고 배아가 죽거나, 살아남은 배아도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헬멧이 필수지요. 카레이싱에서 쓰는 헬멧은 얼굴이 드러나는 ‘오픈페이스’와 머리
전체
가 가려지는 ‘풀페이스’가 있답니다.경기에 출전하는 레이서를 자세히 보면 어깨에 가방끈처럼 보이는 장비를 볼 수 있어요. 이게 바로 운전자의 목을 보호해주는 ‘한스’랍니다. 한스를 헬멧과 연결해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머리와 가슴등판에 뿔이 있어요. 암컷은 뿔이 없고 수컷보다 크기가 작은 대신 등판
전체
에 털이 나 있답니다. 장수풍뎅이의 더듬이는 짧고 끝이 뭉툭하며, 발에는 나무를 잘 타고 오를 수 있게 날카로운 발톱이 있어요. 성충이 되면 참나무에서 나오는 나무액을 먹고 살기 때문에 참나무에서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그 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해줍니다. 게다가 날개 부위별 깃털의 차이, 몸의
전체
적인 균형 유지 같은 복잡한 요소까지 고려해야 새의 움직임을 제대로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3D 프린터를 활용해 새의 움직임을 똑같이 따라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입니다. 3D프린터로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종의 기원’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은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더 큰 이유를 수컷끼리의 경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짝짓기 경쟁’ 가설은 20세 ... 아직 모르는 게 많다. 유전적 배경도 베일에 싸여있다. 최근에 크게 발달하고 있는 기능유
전체
학이 이 비밀을 풀어 주리라 기대한다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순간, 스스로의 중력에 의해 천체가 붕괴한다. 붕괴가 지속되면 천체가 쪼그라들면서
전체
가 하나의 점으로 압축된다. 이 점이 특이점이다.이것을 시공간이 휘어지는 것으로 생각해 보자. 얇은 천 위에 쇠구슬을 올려놓는다. 쇠구슬이 무거워질수록 천은 깊이 파인다. 중력에 의해 시공간이 휘어진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있다.“‘꿈의 에너지, 최후 에너지’라는 점이 어렸을 때부터 가슴에 와닿았죠. 우주
전체
에너지의 대부분이 별에서 나온 핵융합 에너지잖아요. 평생 동안 매일 7~8편의 관련 논문을 읽어 왔어요.”요즘 김 소장의 고민 중 하나는 중국의 부상이다. 중국은 핵융합 연구 인력을 2만 명 넘게 ... ...
[화보] 자연의 경이로운 순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동물은 눈에 보이는 대로 보인다고 믿기 쉽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이들의 일부, 혹은
전체
를 보면 상상하지 못하는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프로 작가들은 이 모습을 결코 놓치지 않는다. 작가의 손을 빌려 동물의 새로운 모습을 관찰해 보자. [기도 나무 나뭇가지처럼 보이는 이것은 누에 나방 ... ...
[과학뉴스] GPS 위성으로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우리가 아는 ‘물질’보다 다섯 배 많을 것으로 예측되는 미지의 물질로,
전체
우주의 27% 정도를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암흑물질은 물질과 반응하지 않아 이제까지 관측이 거의 불가능했는데, 최근 기발한 방법으로 암흑물질을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미국 네바다대와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