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취업일
평일
d라이브러리
"
작업일
"(으)로 총 3,08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최초 홀로그램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국내 출판물의 신기원이 될 홀로그램 표지를 과학동아가 제작했다. 홀로그램 표지는 미국의 '내셔널지오그래피' 말고는 세계적으로도 그 전례를 찾기가 어렵다.지난 1월 말 '3D 특집'을 기획하면서 이왕이면 홀로그램을 직접 제작해보자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제기됐다. 대량인쇄가 가능한 엠보스 홀 ... ...
우리집 홈페이지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웹이 인터넷 표준으로 자리잡으면서 개인들도 홈페이지를 만들어 올리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인터넷 접속법부터 시작해 홈페이지를 직접제작하고 올리는 방법을 알아본다.인터넷이란 단어는 이제 우리 주위에서 하루에도 몇 차례씩 들을 수 있는 일상용어가 됐다. 컴퓨터 ... ...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이제까지 소화기관은 두뇌의 일방적인 통제를 받는 것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소화기관에도 두뇌 못지 않은 지각과 반응 기능을 갖는 '뇌' 가 있다. 신경안정제를 먹으면 설사가 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무대에 오르기 전 배우들의 위(胃)가 긴장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또 입시를 앞두거나 입사 면접 ... ...
1. 생활 속의 디지털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미래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던 디지털 사회는 이미 우리의 현실에 다가와 있다. 이제 디지털 기술과 함께 하지 않는 하루의 삶은 더 이상 불가능해진 것이다.미국 월트디즈니사와 픽사 테크놀러지사가 지난 겨울에 선보인 영화 '토이스토리'. 6살 소년 앤디의 카우보이 장난감인 우디와 첨단 로봇인 ... ...
4. 5감통신의 한계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지금을 디지털 시대라고 부른다. 무엇이 디지털인지 딱부러지게 표현은 못해도 많은 사람들은 이 말에 공감을 표시한다. MIT미디어 랩의 네그로폰테는 "아톰의 시대는 가고 비트의 시대가 왔다" 고 디지털시대의 도래를 압축해 표현했다. 여기서 아톰은 물질을, 비트는 디지털화된 정보를 의미한 ... ...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1986년 4월 26일 새벽 1시 23분, 체르노빌 원전 4호기가 폭발했다. 역사상 가장 참혹한 피해를 입힌 원자력 발전소 사고였다. 당시 인근 지역에 살던 주민과 복구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은 60여만명. 이들은 지금 어떤 상황에 놓여 있을까. 2년 전(1994.5.27-6.6) 우크라이나 공화국을 방문한 경험으로 볼 때 이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회사에서 사용하는 업무용 소프트웨어의 종류는 다양하다. 널리 사용되는 것들은 워드프로세서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시트 등 몇가지 분야에 불과하지만, 여러 가지 다양한 상황과 작업을 위해 만들어진 업무용 소프트웨어의 수는 매우 많다. 심지어는 회사에서 관리자가 직원들의 능력을 평가하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인터넷은 또하나의 지구다. 법도 질서도 없이 시작한, 온갖 기술이 응축돼 있는 하나의 공간이다. 이 세계에 '자바' 돌풍이 불고 있다.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멀티미디어 웹의 등장을 예고하는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를 소개한다.많은 사람들은 지난해 IBM의 OS/2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95간에 ... ...
고기능 사운드카드 옥소리 VS 사운드블라스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사운드카드 분야에서 전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사운드블라스터 시리즈는 '업계 표준'의 이름을 달고 있다. 그러나 '신토불이'를 외치며 국내 사운드카드 시장을 지켜온 국산 사운드카드의 대명사 옥소리의 명성도 그 못지 않다.옥소리 WS32 메프누구도 후회하지 않을 미디 음악 선사286 PC를 사용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심해는 인간에게 도전의 대상이었다. 심해는 어떻게 생겼을까. 인간은 얼마나 깊이 들어갈 수 있을까. 최근 심해가 새로운 연구분야이자 자원의 보고로 등장하면서 탐사정들도 새모습으로 바뀌고 있다.인간이 바다 깊이 들어갈 수 있는 한계는 40m 정도. 보통사람은 30m를 들어가기도 힘들다. 이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