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요일이 바뀐다. 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 년에 쉬는 날의 수도
일정
하지 않다. 게다가 매년 새로운 달력을 찍어 내야 하기 때문에 지원의 낭비가 심하다. 그레고리력, 이건 안좋다! ❷ 들쭉날쭉한 달어떤 달은 30일이고, 어떤 달은 31일로 되어 있다. 심지어 2월은 28일에 ... ...
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않으면 미생물들이 스트레스를 받아 분뇨를 분해하는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농도가
일정
해진 분뇨가 메탄 소화조(삭힘통)로 옮겨진 다음에는 미생물들이 좋아하는 최적 조건, 즉 산성도 pH 7 정도(중성), 온도 35℃ 정도(중온) 또는 55℃ 정도(고온)로 유지시킨다.혐기성 미생물은 분뇨를 이루는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초시계처럼 정확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뇌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가
일정
한 주기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생겨 움직일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데 이 발견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조각으로 나뉘어 보이도록 했다. 결국 지름 1050mm의 원형 구멍3371개를 벽면 전체에
일정
한 간격으로 배열했다. 구멍을 뚫는 덕분에 무거운 콘크리트 벽체를 쌓아 올리는 부담도 줄었다. 마치 다공질의 스펀지처럼 곳곳이 비어 벽체가 한결가벼워졌다.구멍을 뚫어 약해진 콘크리트 속으로는 견고하게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단백질의 성분으로 쓰이는 아미노산은 모두 L형이다. 따라서 L형 아미노산들이
일정
한 순서로 결합돼 3차원 구조를 이루는 단백질은 D형 아미노산들이 똑같은 순서로 결합된 단백질과 서로 거울상일 것이다. 앨리스가 “어쩌면 거울 속의 우유는 먹을 수 없는 것인지도 몰라”라고 한 말에는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흘러넘칠 수 있기 때문이다. 최 팀장은 “펜대의 아랫부분을 보면 물고기 아가미처럼
일정
한 간격으로 판들이 막고 있다”며 “잉크통에서 잉크가 좀 새더라도 여기에 걸려 볼펜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잉크통과 펜 끝 사이는 지름이 불과 0.5mm인 얇은 관으로 연결돼 볼이 굴러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방식은 한 번에 두 층에 정확히 멈추려면 건물 전체의 층 간격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일정
해야 한다.최근에 개발된 ‘슈퍼 더블데크’ 방식은 이런 단점을 보완해 카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심지어 승강로 하나에 카 2개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트윈 엘리베이터도 있다. 독일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름이다. 우리 조상들은 해금을 관악기로도 분류했음을 알 수 있다. 해금은 관악기처럼
일정
시간 동안 한 음을 지속해서 낼 수 있다. 그래서 해금은 피리나 대금 같은 관악기와 동일한 가락을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은 일반적인 현악기는 줄을 뜯거나 튕기는 순간에만 ... ...
수능 가중치 유리하게 활용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과학탐구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수리 가형과 과학탐구를 선택하는 경우
일정
비율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따라서 수리영역의 가형과 나형, 탐구영역의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는 가산점 반영 여부와 반영 비율을 반드시 확인해 지원 전략을 세우도록 한다. 당락 결정지을 논구술 고사 각 대학의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마리 퀴리에 의해 폐기된다. 19세기 후반에 퀴리는 강한 자성을 지닌 금속물질이
일정
한 온도(800℃) 이상에 다다르면 자성을 잃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퀴리 온도’라고 부르는데 지구 내부의 핵은 그 온도가 3500℃를 넘는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지구 내부의 물질은 결코 자성을 지니지 못한다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