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싸우고 화해하고… ‘양은 냄비’ 커플이 잘 깨진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커플이 관계를 오래 유지하고, 결혼에 골인할 가능성이 높을까? 미국 일리노이대 인간발달및가족학과 브라이언 오골스키 교수팀은 쉽게 끓고 쉽게 식는 양은 냄비처럼 싸우고 친밀해지기를 반복하는 커플보다는 작은 갈등을 놓고 ‘티격태격하는 커플’이 오래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 디젤 매연 맡은 벌, “꽃을 못 찾아”과학동아 l2015년 12호
- β-카리오필렌은 이성질체인 γ-카리오필렌으로 변형됐다.레딩대 로비 걸링 연구원은 “인간은 벌의 은혜를 대기오염, 살충제, 서식지 파괴로 갚았다”며 “계속 누적되면 벌의 멸종이 현실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생태학지’ 10월호에 실렸다 ... ...
- 외로움의 허기를 무엇으로 달랠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에너지를 섭취하라고 보내는 신호다. 외로움도 우리에게 다른 사람을 만나라는 신호다. 인간은 다른 이와 관계를 맺고 협동하며 진화했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지금 외롭다면 그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외로움을 푸는 방법은 문제가 될 수 있다.외로움을 이기는 저마다의 방법외로움을 ...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돌고래와 인간의 접촉이 서로 우호적으로 마무리되는 경우는 드물어요. 돌고래와 인간은 비슷한 종류의 어류를 좋아하기 때문에 서로 먹이를 두고 경쟁할 수 있거든요. 게다가 돌고래는 ‘너무’ 귀여워요. 돌고래의 귀여운 모습에 매료되어 우리는 돌고래를 우리의 주위에 묶어 두려고 해요. ... ...
- Intro. 폭력과 테러 인류의 숙명일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문명과 이성의 세기라는 21세기에도 전쟁과 무차별적인 테러는 끊이지 않고 있다. 폭력은 인간의 본성인 걸까. 혹은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 진화학과 뇌과학의 시각으로 진단해 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폭력과 테러 인류의 숙명일까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프리드 교수가 이어받았다. 프리드 교수는 1997년 머릿속에 어떤 스위치가 켜지면 평범한 인간이 다른 이를 학살하는 악마로 변한다는 새로운 가설을 랜싯에 발표했다. 그는 이것을 일종의 신드롬으로 규정하고, 악(Evil)의 알파벳 첫 글자를 따 ‘신드롬 E’라고 불렀다. 신드롬 E의 특징으로는 ... ...
- 예술가가 우주를 보는 방법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속에서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한 경외심이 느껴진다.가장 아름다운 경험, ‘신비’“인간이 겪을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경험은 ‘신비’이다. 신비는 예술과 과학의 진정한 근원이다. 이를 깨닫지 못하고 확실한 길만을 추구하는 과학자는 결코 우주를 맑은 눈으로 바라볼 수 없다.”아인슈타인의 ...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청양고추를 10개씩 먹어야 할 정도로 양이 많다.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인간에게도 효과가 있다면 매일 고추를 10개씩 먹는 것보다는 캡사이신을 농축한 약물을 복용하는 방법이 나을 것 같다.Q 고추를 즐겨 먹는 나라와 그렇지 않은 나라에서 파킨슨병 발병률에 차이가 있나구체적으로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등을 서로 다르게 활용해서 살아가는 방법을 ‘니치(niche)전략’이라고 해요.그런데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자연에서 두 종이 공존하는 방법에 문제가 생겼어요.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두 종이 활동하는 시간과 공간이 바뀌었고, 서로 마주하는 경우가 많아졌거든요. 만약 두 종이 마주하게 되면 ... ...
- 코끼리는 어떻게 암을 피해갈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내 DNA가 손상됐을 때 체내 면역 반응도 함께 조사했다. 그 결과 코끼리의 면역세포는 인간의 면역세포에 비해 손상된 세포에 ‘세포자살(apoptosis)’을 더 많이 유도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스키프맨 박사는 “DNA 손상을 복구하는 대신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세포, 즉 예비종양 세포를 없애는 방법을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