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양자통신위성 ‘묵자호’를 쏘아올리는데 성공했다. 묵자호는 2018년까지 500km 상공의
우주
궤도에서 지상과 양자통신을 시도한다. 판젠웨이 양자과학실험위성 수석과학자는 당시 JTBC와의 인터뷰에서 “빛의 80%가 대기를 통과할 수 있어 수 천 km까지 전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더 읽을거리in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것들끼리 화학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화학 반응이 일어날 확률은 1억 년에 1번 정도.
우주
의 역사에서 약 100번의 기회가 있었던 셈이다. 강헌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꽁꽁 얼어붙은 성간 구름의 먼지 입자 표면에서 분자들이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강 교수팀은 극저온 초진공 장치를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
가 내린다
우주
먼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우주
먼지는
우주
에서 지구로 날아온 1mm 이하의 작은 입자를 말한다. 지구에는 연간 약 1만4000t의
우주
먼지들이 땅으로 내려앉고 있다(doi:10.1186/ BF ...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별과 생명의 씨앗
우주
먼지’(2011.9)dl.dongasc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그 계획이 성공한다는 보장도 없고 저 사람들도 그걸 알아. 그래도 해야 하는 거지.
우주
속에서 의미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여울 소리의 친구들은 시간 발전소 인공지능을 이용해 직접 초기 조건을 통제할 수 있는 신의 씨앗을 만들려고 해. 그걸 모두 알고 있다고? 그런데 시정부는 신경도 쓰지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봄이 오면 가장 이기기 힘든 것이 있다. 바로 스르르 감기는 눈꺼풀이다. 어젯밤 잠이 부족한 걸까. 사실 사람마다 필요한 잠의 양이 다 ... ‘잠과 꿈의 몽상학’(2014.05)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405N043기획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
여행 떠나자’(2014.01)dl.dongascienc ...
수학은 외계어!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소통할 수 있는 외계인이 있다고 믿는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너무 불쌍하다. 넓디넓은
우주
에 만약 우리뿐이라면 우리는 정말 외로운 존재일 테니까 ... ...
Part 5. 깨끗한 공기를 지키는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또한 과학자들은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돌파구를 찾고 있어요. 지난 해 5~6월에는 미국항공
우주
국과 우리나라의 공동 연구팀이 한반도 대기질을 분석했어요(위 사진). 또 지난 해 11월에는 한국, 중국, 일본 환경과학원장들이 만나 2019년까지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하기로 ... ...
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같은 미지의 세계”해저 2000m 아래는 빛이 전혀 없는 어두컴컴한 곳이에요. 그래서 마치
우주
와 같은 미지의 세계에 와 있는 느낌이 들지요. 탐사를 하는 내내 신기하면서 두렵기도 했어요.사실 심해는 해양학자들에게도 아직 신비한 공간이에요. 넓은 면적만큼 밝혀지지 않은 많은 비밀을 간직하고 ... ...
[그래픽 뉴스] 일곱 개의 새로운 세계가 발견되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
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양자물리학의 최전선이다. 표면에만 전류가 흐르고 내부는 절연체인 ‘위상절연체’,
우주
론의 웜홀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바일 준금속’ 등이 발견되면서 새로운 입자를 예측하고 발견하는 게임이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한창 진행 중이다. 90년 전인 1927년 이후 양자역학에서 어떤 물줄기가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