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땔감
땔거리
불땔감
에너지
힘
활력
목재
d라이브러리
"
연료
"(으)로 총 2,09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이 만드는 화학제품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활발하다.에타놀 이외에 공업적으로 중요한 알코올로 부타놀(butanal)이 있는데 공업
연료
나 플라스틱 제조에 사용된다. 부타놀을 박테리아를 이용해서 제조하는 방법은 1912년에 개발되었으나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요즈음은 거의 화학적으로 합성하고 있다. 귀중한 화학물질 손쉽게 생산아미노산은 ... ...
조립식 우주기지 소련서 한발앞서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소로비예프'를 태운 우주선 소유즈T-15가 미르와 도킹했다. 그리고 이어 식량과 물
연료
를 실은 우주화물선 프로그레스 25도 발사되어 미르에 접속되었다. 미르는 중간에 꺾인 거대한 솔라 패널(태양전지집적판)을 동체의 양쪽에 펼치고 있다. 그래서 우주비행사의 한명인 키짐은 소유즈를 타고 ... ...
한국의 항공산업기술은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처음으로 착수한 것이 제트엔진 국산화였다. 이를 성공한 뒤 곧이어 제트엔진 주
연료
제어장치도 국산화했다.85년 2월 미국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그룹의 프래트 앤드 위트니사와 미공군 F-15 와 16에 장착된 F100엔진 창정비를 맡을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삼성정밀의 항공산업은 한발 더 내딛었다. ... ...
초전도체(超電導体)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내에 장치하는 셈이다.핵융합발전에서는 바닷물에서 무진장으로 얻을 수 있는 중수소를
연료
로 하고, 타고 남은 재는 방사선이 없는 헬륨이므로 원자력발전에서 문제가 되는
연료
(우라늄) 문제나 방사능오염의 위험성도 없으므로 미래의 에너지원이 될 것임에 틀림없다.핵융합발전의 실용화를 ... ...
하드웨어 개발이 과제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원료가격이 싸며 안정적으로 공급된다는 점이다."석유화학 산업은
연료
산업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화학물질을 제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동차나 공장을 가동하기 위해서 석유를 채굴하는 것" 이라고 '댄 버서'(Dan Verser)는 말한다. '댄 버서'는 벤쳐기업의 하나인 엔지닉스사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태양빛의 복사에너지) 이런 류의 에너지 공급은 지구상의 유한자 원인 집중돼있는 화석
연료
(석유나 석탄)와는 다르기 때문에 그 효율이나 이용구조를 갖추는데 어려움이 많다.아뭏든 엔트로피 법칙은 물질적 진보에 대한 종래의 견해를 뒤엎고 있다. 현재로서는 엔트로피 법칙을 거역하는 방법은 ... ...
서울의 교통체계 8각형 교차로, 도시교통의 장애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환산하면 천문학적 숫자에 이른다. 서울에서 자동차의 시속이 1km씩 떨어질 때 추가되는
연료
소모, 택시와 버스의 소요만 계산해보아도 연간 6백억원의 시민부담이 새로 생겨나는 것이다. 서울시민이 시정(市政)에 기대하는 것이 84년부터는 주택문제를 제치고 교통문제가 수위로 나섰다고 한다 ... ...
지구의 종말은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요구할것으로 보인다. 즉 태양은 가장 중요한
연료
인 수소를 다 태워버려 다른 원소를
연료
로 쓰게되며 이렇게 되면 태양의 밝기는 지금보다 4백배, 크기는 1백배 정도 커질 것이다. 지구에서 이때의 태양을 본다면 하늘이 온통 불덩이로 보일 것이다.태양의 색깔을 피처럼 붉은색이 될 것이다 ... ...
믿을 수 없는 '과학확률' 10여년간 150여건의 중대사고 발생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다행히 원자로가 동굴 속에 있어 피해가 적었다. 1969년 프랑스 : '생로렌' 원전이
연료
장전의 실수로 부분 멜트다운을 일으켜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됐다. 1979년 미국 : '드리마일' 아일랜드 원전에서 냉각수 누출사고로 부분적 멜트다운이 일어났다. 인근 주민 1백만명의 소개가 검토됐다. 방사능 ... ...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스웨덴 포스마크 원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처분 방도를 고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1977년 법제화됐다. 현재 대부분의 사용후 핵
연료
는 지하의 수냉식 저장고에 보관되며 고준위 폐기물은 지하 5백m의 암반 속에 최종적으로 저장된다. 포스마크 발전소에 가려면 인적 없는 침엽수림을 뚫고 한시간 이상 승용차로 달려야 한다. 드리마일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