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본다는 뜻은 아니다. 곤충이 보는 세상은 모자이크 같은 엉성한 형태다. 문명진 단국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겹눈으로 광각을 볼 수 있을 뿐, 시력이 좋은 것은 아니라서 형체만 판별할 수 있다”며 “곤충도 물론 막대세포와 원추 세포가 있지만 사람처럼 색상을 감지하는지, 다른 형태로 보는 ...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천연두는 대포보다 강력하다인간이 생물무기를 쓰기 시작한 건 무려 기원전 6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원시적인 방법이지만 병자의 분뇨로 ... 왔는가?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글 양재명 jaimyang@sogang.ac.kr서강대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바이러스학을 전공했다 ... ...
-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줄곧 그래 왔듯이요.”정재웅2004년 한인 최초 하버드대 종신교수2006년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외래교수2007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케크의과대 교수2007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분자생물학 및 면역학과 학과장2012년 제22회 호암상 의학상 수상▼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이러스의 ... ...
- Part 2. 우주 아파트 건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공간을 만든다. 지구에서 조달한 장비를 조립해 산소 생산 장치, 자원 저장 장치 같은 생명활동 보조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토양을 깔고 나무, 화초를 심는다. 나무를 키우는 데 필요한 물도 현지에서 생산했다. 달의 극지역까지 배수관을 설치한 뒤 극지 얼음을 녹여 물을 조달했다.달 지하의 ... ...
- 우주기지 만드는 빅 엔지니어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먼 우주를 탐사하는 게 유리해진다.‘달기지’는 화성 정착을 위한 전초기지화성은 물, 생명, 대기의 존재 가능성이 커 인류가 살 수 있는 우주 정착지의 최우선 후보로 꼽힌다. 하지만 현재 우주 기술로는 쉽게 가기 어렵다.따라서 실제로 화성 유인탐사는 인류가 우주 공간에서의 자원개발, ... ...
- [photo] 기계 생명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Stage Of Culmination II _Dragon, Episode자동차 엔진의 외형은 힘을, 혈관과 같은 배선의 조합은 생명력을, 어두운 기계의 색감은 강한 권력을 상징한다.박기일_Ready기계부품들은 복잡하지만 나름의 질서를 갖고 필요한 위치에 존재한다. 지극히 기능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이지만, 작가는 꾸밈없는 모습에 ... ...
- Intro. 바이러스의 인간사육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속에서 도태돼 사라져 버린다. 바이러스는 살아있는 숙주가 있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생명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5억 5270만 마리의 닭이 소비되고 있지만, 닭의 멸종을 걱정하는 사람은 없다. 혹시 바이러스는 우리가 닭을 이용하듯 인간을 사육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기획·진행 이우상 ...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과학동아 l2013년 08호
- dongascience.com/articleviews/info-view?acIdx=12614 (인포그래픽 뉴스를 참고하세요.)글 부하령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aryoung@kribb.re.kr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장을 지낸 감염병 백신 전문가로서 다수의 바이러스백신 연구논문 발표 및 특허를 출원했고 치료백신 임상연구를 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더 좋다.인간의 감각으로는 짐작할 수조차 없는 오랜 세월 동안 물과 불, 바람, 그리고 생명이 만들어낸 콜로라도 고원의 산과 계곡에서 느끼는 감회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지질학적 규모의 세월이 깃든 이 곳에서 작렬하는 태양과 바람, 그리고 운이 좋다면 쏟아지는 별을 바라보는 건 일생의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의 서보정 학생이 학술지 ‘응용물리저널’에 논문을 실었고, 나노생명화학공학부 정문곤 학생은 나노소재나 약물 전달체 등으로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구조 형성에 관한 연구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즈’의 표지를 장식했다.2030년, 세계 1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